[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8일 창사 이래 처음으로 노사 임금협약을 체결했다. 삼성 전자계열사 중에서도 첫 사례인 만큼 주목된다.
삼성디스플레이 노사는 이날 오후 아산1캠퍼스에서 김범동 인사팀장(부사장)과 김정란·이창완 노조 위원장 등 노사 교섭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임금 협약 체결식을 개최했다.
삼성디스플레이 노사는 지난 1월 109개 조항에 대한 단체 협약을 체결한 이후 2월 25일부터 5개월여 동안 임금 협상을 진행해 왔다. 노사 양측은 9차례의 교섭 끝에 이달 5일 2021년 임금 협상안에 최종적으로 합의했다.
노조는 기본인상률 6.8%를 요구하며 지난달 21일부터 2주 넘게 파업까지 벌였지만, 결국 회사가 사내 협의기구 노사협의회와 기존에 확정한 기본인상률 4.5%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대신 다음 임금협상부터는 회사가 노사협의회가 아닌 노조과 먼저 협상을 진행하고, 노조에 임금 관련 경영자료를 제공하기로 약속했다. 또 분기당 1회 이상 정식으로 소통하는 노사 특별 공식기구를 설치해 운영하기로도 했다.
이 날 임금 협약 체결식에 참석한 김범동 삼성디스플레이 인사팀장은 "그간 갈등도 있었지만, 단체 협약에 이어 이번 임금 협약까지 소통과 신뢰로 합의를 이뤄낸 노사 양측 교섭위원들에게 감사하다"며 "회사도 이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와 임직원 모두의 발전을 위해 상생하는 노사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노조 관계자는 "충분한 결과물은 아니지만 노조의 협상력이 문서로 입증된 점, 향후 경영자료를 기반으로 한 대화 테이블이 열리는 점 등을 이번 협상의 성과로 판단했다"며 "진정한 노사상생을 위해 큰 틀에서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발전적 미래를 위해 서로 신의성실한 자세를 유지하기로 했다. 내년 협상을 더 잘하기 위해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 간부들은 파업을 해제하고 내주부터 현업에 복귀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 노조는 지난해 2월 한국노총 산하로 출범했다. 현재 조합원 수는 전체 직원의 10%를 웃도는 2400여명 규모다.
앞서 삼성디스플레이 노사는 올해 1월 삼성 전자계열사 중 처음으로 노사 단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 삼성디스플레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첫 발간
- 삼성전자, 내달 '모더나' 백신 맞는다···주요 기업 자체 접종 추진
- 공정위, '웰스토리 부당지원' 제재···삼성 "직원 복지 차원일 뿐"
- [초점] OLED 다급해진 삼성디스플레이, 양산 시점 앞당기나
- 삼성디스플레이 노조, 창사 이래 첫 '파업' 수순으로
- LCD 가격 상승에 삼성·LGD 잇따라 생산 연장
- 삼성 노트북용OLED, 친환경 제품 인증 '그린가드 골드' 획득
- [CEO&뉴스]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메타버스', 산업의 중요 변곡점"
- 삼성디스플레이 "AI로 고난도 패널 개발한다"
- 삼성·LGD, 'SID 2021'서 차세대 OLED 기술 과시
- 삼성디스플레이, '초고해상도 산화물 TFT 개발' 주관 기업 선정
- 삼성디스플레이 "OLED 노트북 '다크 모드', 소비전력 25%↓"
- 삼성디스플레이, 노트20 패널 환경성적표지 인증 획득
- 삼성디스플레이, 통상임금 합의···노조 "노노갈등 유발" 반발
- 삼성디스플레이, 저전력 OLED 글로벌 고객사로 확대
- 삼성디스플레이, 고주사율 OLED로 게이밍 스마트폰 공략
- [기자수첩] 삼성 '무노조 폐기' 1년, '상생표본' 기대한다
- 삼성디스플레이, 수자원 보호 위해 '생태 식물섬' 조성
- 삼성디스플레이, 'UPC'로 풀스크린 시대 연다
- 삼성디스플레이, 90Hz 고주사율 OLED 노트북 시장에 첫 선
- "삼성디스플레이 노트북 OLED, 유튜브에서도 인기 몰이"
- 삼성디스플레이, 이색 사내 행사로 직원들 활기 충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