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긴급구조기관(소방청·해양경찰청) 및 경찰관서에서 긴급구조를 위해 활용되는 개인위치정보 품질을 측정한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이번 위치정보 품질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이통3사 및 기타 단말기의 각 측위기술(기지국·GPS·와이파이)에 대해 단말기의 GPS와 와이파이 기능이 '꺼진(Off)' 열악한 상태에서 긴급 상황발생 시 단말기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켜서(On)'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위치정보를 제공하는지를 측정한 것이다.
방통위는 긴급구조기관 및 경찰관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19년부터 긴급구조 위치정보의 품질 측정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해 이통3사가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향상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통3사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제공 성공률이 GPS 방식은 82.9%, 와이파이 방식은 82.3%로 나타났다. 2019년 대비 GPS·와이파이·기지국 등 각 측위방식에 대한 위치정보 성공률·응답시간·정확도 모두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GPS 방식 측정 결과 위치성공률은 SK텔레콤 94.4%, KT 93.1%, LG유플러스 61.1% 순으로 SK텔레콤이 제일 우수하며, 위치정확도는 KT 34.5m, SK텔레콤 39.5m, LG유플러스 82.2m로 KT가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G유플러스의 위치성공률‧위치정확도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 대비 이통3사 평균 GPS 위치성공률은 80.6%에서 82.9%로, 위치정확도는 62.5m에서 60.3m로 개선됐다.
와이파이 방식 측정 결과 위치성공률은 KT 97.4%, SK텔레콤 97.2%, LG유플러스 52.3%, 위치정확도는 SK텔레콤 30.2m, KT 33.0m, LG유플러스 90.2m로 SK텔레콤와 KT는 양호하나, LG유플러스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대비 와이파이 위치성공률은 80.7%에서 82.3%로, 위치정확도는 65.2m에서 61.9m로 개선됐다.
기지국 방식 측정 결과 위치정확도는 SK텔레콤 70.0m, KT 142.4m, LG유플러스 485.6m로, 위치응답시간은 SK텔레콤 1.6초, KT 1.9초, LG유플러스 2.3초로 SK텔레콤과 KT는 양호하나 LG유플러스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대비 와이파이 위치정확도는 264.0m에서 225.5m로, 위치응답시간은 2.8초에서 1.9초로 개선됐다.
이통3사 이외의 기타 단말기의 위치정보 품질 측정 결과 기지국 위치정보의 경우는 주요 외산(외국 제조사) 단말기·자급제(일반시장 판매) 단말기·알뜰폰(이동전화 재판매) 단말기·유심(USIM)이동(이동통신사 변경) 단말기 모두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GPS·와이파이 위치정보는 이용하는 단말기의 측위기술 적용여부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2019년보다는 점진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아이폰 11)의 경우 GPS는 긴급통화 중에만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와이파이는 이통3사 측위모듈이 탑재되지 않아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샤오미(Mi10)‧화웨이(P40 Pro)의 경우, GPS·와이파이 모두 이통3사 측위 모듈이 탑재되지 않아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상혁 위원장은 "이번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를 토대로 위급상황에서 구조자의 위치정보를 긴급구조기관 등에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긴급구조 표준 측위기술 적용을 위한 관계 부처 및 사업자와의 협의를 거쳐 관련 제도 개선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 방통위, 정부통합 백신 허위조작정보 신고게시판 신설
- "휴대폰 판매점, 사전승낙서 게시해 주세요"
- 방통위 "코로나19 재난지원금·대출 유도 문자 속지마세요"
- 방통위, 성인물 노출 '웨이브' 서비스 실태점검
- [업무보고] 방통위, 미디어 공적책무 강화···방송시장 활력 제고
- 방통위 "사업자 간 차별적 규제 해소 등 공정경쟁 환경 조성"
- "단통법 위반, 방통위 홈페이지로 신고하세요"
- KT-서울과기대, 클라우드 기반 융합 기술인재 키운다
- LGU+ 일상비일상의틈,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 개최
- SKT, 사옥 로비 '미디어 아트 갤러리'로 탈바꿈
- KT, '제주 스마트 도로' 광고 공개
- LGU+, '유튜브 프리미엄팩' 출시
- KT, 온라인 전용 요금제 'Y 무약정 플랜' 출시
- KT, '세계 여성의 날' 맞아 여성 임직원에게 꽃 선물
- '성과급 논란' SKT, 전 직원에 800만원 지급
- LGU+, 시각장애인 전용 전자도서 만든다
- SKT, 통신기술로 온실가스 연 1만톤 줄인다
- KT-강원도청, 양자정보통신 등 디지털 뉴딜 분야 협력
- 네이버·카카오·토스, 본인확인기관 심사 탈락
- KT, 인공지능 119 신고 접수시스템 개발한다
- LGU+ 주축 'XR 얼라이언스', 버라이즌·오렌지·청화텔레콤 합류
- 이통3사, 주주총회 눈앞···주요 안건은?
- SKT, 공인전자문서중계 자격 획득
- LG유플러스-GS건설, 스마트건설 기술로 현장 안전·생산성↑
- SKT, 175개 협력사와 ESG 경영활동 가속
- SK 세븐모바일, 마블 캐릭터 신규 유심카드 출시
- 방통위, '별풍선 결제' 피해 예방 제도 개선
- 세종텔레콤 스노우맨, 알뜰폰 당일배송 서비스 선봬
- SK텔링크 'SK 세븐모바일', 업계 최초 가입안내서 QR 코드로 대체
- 방통위, '갤노트20' 개통 고의 지연 KT에 과징금 1.6억 부과
- 방통위, 휴대폰 추가지원금 한도 30%로 상향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