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산업·에너지 분야 탄소중립 R&D 전략 수립' 방안을 논의했다고 4일 밝혔다.
국내의 경우 탄소중심의 에너지 집약적 산업구조로 인해 달성이 쉽지 않다. 가장 큰 부분인 에너지(배출량 37%),와 산업(배출량 36%) 분야에서 '한계 돌파형 혁신기술'이 개발돼야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
산업부는 이번 연구개발(R&D) 전략 수립을 위해 에너지 공급·수요 내 주요 업종별로 16개 작업반을 구성해 분야별로 탄소배출 현황과 배출 매커니즘을 분석하고 핵심 감축기술을 도출해 2050년까지 단계별 기술확보 일정을 제시할 계획이다.
또 기술확보를 위한 정부·민간, 산학연간 역할분담 방안을 제시하고 필요하면 해외기술을 도입하는 등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Global Open Innovation)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탄소중립이 가장 어려운 산업부문은 그동안의 효율향상 전략 차원을 넘어 신공정 개발 등 원점에서 보다 근본적인 기술전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정부-철강업계, '2050 탄소중립 공동선언문' 발표
- "환경산업체 해외진출 지원 사업, 지난해 수주 1조4845억원"
- 판 커지는 ESG펀드 시장, 새 투자처로 급부상
-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다보스포럼서 기후변화 대응 전략 발표
- 산업부, 올해 에너지 기술혁신에 1.1조원 투입
- 한화큐셀, 재생에너지 기업 첫 RE100 선언
- 한화큐셀, 독일 가정용 전력 공급 사업 10만 가구 가입 돌파
- 정부,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수립 '킥오프 회의'
- 한화큐셀, 美 텍사스 81MW 태양광 발전소 매각
- 비철금속업계, 2050 탄소중립 동참···공동선언문 서명
- 한화큐셀, 독일서 태양광 특허기술 침해 소송 제기
- 한화큐셀, '영농형 태양광' 표준화 공동 연구기관 선정
- 정부, 태양광발전 실시간 원격 감시·제어 안전기준 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