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CJ대한통운은 베트남 물류 자회사 'CJ제마뎁'이 메콩 델타(Mekong Delta) 지역에 위치한 냉동 물류센터 지붕에 4.8MWp(메가와트피크) 규모의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단일 지붕 태양광 발전 설비 규모로는 베트남 최대로, 2만5000㎡ 넓이의 지붕에 총1만880개의 태양광 모듈이 설치됐다. MWp는 최적의 조건에서 태양광 모듈이 최대로 낼 수 있는 발전능력을 의미한다.
CJ제마뎁은 전력 소비가 많은 냉동 물류센터에 태양광으로 생산한 친환경 재생에너지를 사용함으로 연간 4840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나무 한 그루당 연간 2.5톤(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고 가정할 경우 1936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다.
더해 베트남의 풍부한 일조량과 초대형 태양광 설비를 기반으로 CJ제마뎁의 에너지 사용 효율성도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태양광으로 매년 7066MWh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해 물류센터 운영 전력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매년 약 25%의 전기료를 절감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 지붕에 설치한 태양광 모듈이 외부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 역할을 함으로써 물류센터 내부 온도를 약 2~3도 가량 낮춰주는 효과도 발생한다. 항시 저온을 유지해야 하는 냉동 물류센터의 온도관리 효율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아울러 CJ대한통운은 향후 글로벌 패러다임의 전환 및 경영 환경 변화에 따라 친환경, 재생에너지 물류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냉동 물류센터의 유휴공간을 활용해 재생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운영 효율, 친환경이라는 두 가지 성과를 모두 달성할 수 있었다"며 "글로벌 리딩 물류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가능경영을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11월 경기도 군포와 울산에 두 대씩 총 4대의 전기화물차를 도입해 택배 배송에 투입했으며 2030년까지 모든 차량을 친환경 전기화물차로 교체할 계획이다.
- 택배노조, 총파업 종료···"노사협약 체결 달성" (종합)
- '택배합의' 6일만에···노조 29일 총파업 선언, 시비 전말은?
- 택배노조 "총파업 철회"···설 '택배대란' 피했다
- CJ대한통운, '콜드체인' 시스템 준비···코로나 백신 운송 총력
- CJ대한통운 택배기사, 건강검진 연계 상담 연 3회 가능
- CJ대한통운, 2년 연속 '대한민국 봉사대상' 수상
- CJ대한통운, 인수지원인력 2259명 투입···"이행상황 공개"
- CJ대한통운, 경기 광주경찰서 '보행자 교통안전용품' 전달
- 택배 3사 "과로방지 '분류인력' 6천명 투입, 약속 지켰다"
- 이번엔 택배대리점 연합회 '파업 예고'···"2차 합의 재검토해야"
- 지난해 택배 물량 30억 개 넘어서
- CJ나눔재단, 공부방 아동 3000명에 설맞이 먹거리 전달
- CJ대한통운, 소형택배 자동분류 시설 40곳 추가 설치
- CJ대한통운, 400억원 규모 우즈벡 초중량물 프로젝트 수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