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한국 조선업이 지난해 말 수주 뒷심을 발휘함에 따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3년 연속 세계 1위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5일 영국 조선·해운 분석업체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지난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총 1792만CGT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중국과 한국이 각각 798만CGT, 673만CGT를 수주하며 세계 1, 2위를 차지했다.
다만 이 수치에는 지난달 말 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연이어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17척이 빠져있어 해당 물량(145만CGT가량)을 더하면 한국이 중국을 제치고 1위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이 2018년 이후 3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선박을 수주한 셈이다.
한국 조선업은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초 극심한 수주가뭄을 겪었다. 그러나 하반기, 특히 4분기 들어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선과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컨테이너선을 대량으로 수주했다.
올해 전망도 매우 밝다. 코로나19로 지연된 잠재 수요와 환경규제가 본격화하면서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지난달 발표한 '2021년 국내외 경제 및 산업 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수주량과 수주액(해양플랜트 제외)이 지난해 대비 각각 134%, 110% 증가한 980만CGT, 215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친환경 정책을 강조하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유럽연합(EU)의 온실가스 배출거래제도(ETS), 국제해사기구(IMO)의 연료 효율 규제도 한국 조선업체들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친환경 규제에 부합하지 못하는 노후 선박 교체 수요가 증가할 것이 분명한 상황에서 한국이 독보적 기술력을 가진 LNG 이중 연료 추진 선박에 선주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카타르가 한국 '빅3' 조선업체와 맺은 LNG선 슬롯(도크 확보) 계약이 올해부터 본격화하는 것도 호재라는 분석이다.
- [2020결산/조선] 中 따돌리고 '막판 잭팟'···내년이 더 기대된다
- 한국조선해양, LNG선 4척·VLCC 2척 등 1조원 규모 수주
- 韓조선업, 11월 전세계 발주량 60% 점유···5개월 연속 1위
- 대우조선해양, 2800억원 규모 초대형원유운반선 3척 수주
- 韓 조선업, 10월 선박 수주 독보적 1위···'4개월 연속'
- 한국조선해양, 4250억원 규모 LNG운반선 2척 수주
- 韓 조선업, 9월 수주량도 1위···3개월 연속 수성
- 韓 조선업, 8월 수주량 1위···2개월 연속 中과 '3배 격차'
- 韓 조선업, 7월 선박 수주량 中 제치고 1위
- 韓 조선업, 3년 연속 수주 세계 1위···지난해 43% 차지
- 삼성重, 다목적 해상실증 시스템 구축 사업자 선정
- 조선업계, 새해부터 물량 확보 '청신호'···"수주 랠리 잇는다"
- 한국조선해양, 총 2880억원 규모 선박 3척 수주
- 한국조선해양, 2000억 규모 초대형 원유운반선 2척 수주
- 삼성重, 2000억 규모 대형 컨테이너선 2척 수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