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한국 조선업계가 지난달 전세계 선박 발주량 가운데 60% 이상을 수주하며 5개월 연속 1위자리를 지켰다.
8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11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64만CGT(56척)으로, 이 가운데 한국이 99만CGT(24척‧60%)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2위 중국 60만CGT(24척‧37%) △3위 베트남 5만CGT(8척‧3%)가 뒤를 이었다.
1월부터 11월까지의 글로벌 누계 선박 발주량은 1447만CGT로 지난해 동기(2523만CGT) 대비 반토막(57%) 나는 등 발주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 667만CGT(298척‧46%), 한국 502만CGT(137척‧35%), 일본 118만CGT(78척‧8%) 순으로 조사됐다.
단, 한국은 지난 6월 말 한때 누적 수주량이 1위 중국과 39%포인트(p)까지 차이가 벌어졌으나 11%p까지 격차를 크게 좁혔다.
이는 하반기 들어 반주세가 회복된 영향이라고 클락슨은 분석했다. 특히 11월 데이터 집계에 누락된 한국 조선소가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선, 초대형원유운반선(VLCC)이 포함될 경우 양국 간 누계 수주량 격차는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최근 삼성중공업은 2700억원 규모의 LNG선박 2척을 수주했고 대우조선해양도 2800억원 규모 VLCC 3척을 수주하는 등 연말 뒷심을 발휘하고 있다.
7~11월 한국 수주량(372만CGT)이 상반기(1~6월, 130만CGT)에 비해 186% 증가한 반면, 중국은 263만CGT으로 동기(404만CGT) 대비 35% 감소했다.
선종별로는 VLCC, S-Max급 유조선은 발주량이 증가했고 A-Max급 유조선,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 대형 LNG선(14만㎥ 이상)은 발주량이 크게 줄었다.
11월 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대비 소폭(3만CGT) 증가한 6784만CGT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일본(△24만CGT‧3%↓), 중국(△6만CGT)은 감소한 반면, 한국(42만CGT‧2%↑)만 유일하게 수주잔량이 2개월 연속 증가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498만CGT(37%)에 이어 한국 1936만CGT(29%), 일본 829만CGT(12%) 순이다.
11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지난달보다 0.5p 떨어진 125p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발주 감소 등 변수때문에 올해 초 130p 기록 이후 지속 하락세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은 1억 550만 달러에서 1억 400만 달러로 하락했다. 단, VLCC 8500만 달러, S-max 유조선 5600만 달러, A-max 유조선 4600만 달러, LNG선(17만4000㎥)은 1억 8600만 달러로 지난달과 동일하다.
- 삼성重, 대표이사 사장에 정진택 부사장 선임
- 대우조선, LNG 이중연료 추진 VLCC 10척 건조의향서 체결
- 삼성중공업 독자 개발 '엑스-렐리' 美ABS DDA 인증 획득
- 대우조선해양, 2800억원 규모 초대형원유운반선 3척 수주
- 한국조선해양, 1000억원 규모 LPG선 2척 수주
- 대우조선해양, 자체개발 'LNG선 사이버 보안기술' 인증 획득
- 대우조선해양, '선박 대 선박 LNG 선적' 실증 테스트 성공
- 한국조선해양, 1200억원 규모 LPG운반선 2척 수주
- 삼성重, 배진한 부사장 등 임원 6명 승진
- 대우조선해양, 9만1000㎥ 규모 초대형LPG운반선 1척 수주
- 삼성重, 친환경 도장 VR 교육훈련 시스템 개발
- 대우조선해양, 기술력 입증···연말 관련 상 수상 잇따라
- 삼성重, 이틀 걸쳐 8100억원 규모 LNG선 4척 수주
- [2020결산/조선] 中 따돌리고 '막판 잭팟'···내년이 더 기대된다
- [신년사] 권오갑 현대重그룹 회장 "위기 넘어 미래 준비하자"
- '뒷심발휘' 韓 조선업, 3년 연속 세계 1위 유력···올해도 '맑음'
- 한국조선해양, 새해 첫 수주 '잭팟'···초대형 컨테이너선 6척 수주
- 韓 조선업, 1월 수주량 1위···세계 발주량 54% 차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