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전자는 인테리어 기업, 예술가와 손잡고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냉장고 '비스포크(Bespoke)'에 새로운 디자인을 도입한다고 6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보다 다양한 소비자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종합 홈 인테리어 기업인 한샘, 프랑스 출신 유명 일러스트레이터 티보 에렘(Thibaud Herem)과 협업을 진행했다.
삼성전자는 한샘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키친바흐'에 사용되는 '페닉스(FENIX)' 소재를 비스포크 냉장고에 적용하고 이 제품을 한샘 매장에서 판매한다.
페닉스는 이탈리아 가구 소재 업체 '아르파 인더스트리알레'가 개발한 소재로, 스크래치에 강하고 지문이 잘 묻지 않아 관리가 용이하며 매트한 질감으로 무광 소재 인테리어와 잘 어울린다.
페닉스 패널을 적용한 비스포크 냉장고는 한국 아파트의 평균적인 가구장 크기에 꼭 맞는 '키친핏' 타입으로, 대부분의 주택에서 별도의 공사없이 합리적인 가격에 빌트인 스타일을 완성할 수 있고 한샘 키친바흐 주방가구와 함께 배치하면 소재와 컬러까지 동일해 완벽한 빌트인 룩을 연출할 수 있다.
페닉스 패널을 적용한 신제품은 모두 키친핏으로 4도어 냉장고, 3도어 김치냉장고, 2도어 냉장고, 1도어 냉장고·냉동고·김치냉장고·변온냉장고 등 7개 타입이며, 색상은 베이지·다크 그레이·블랙 등 3가지다. 이 제품은 20일 출시되며, 출고가는 99만9000원~469만9000원이다.
페닉스 패널이 적용된 비스포크 냉장고는 한샘 리하우스와 키친바흐 전 매장에서만 구매와 상담이 가능하며, 한샘 디자인파크 논현점과 기흥점에는 제품이 이미 전시돼 정식 출시일 전에 만나볼 수 있다.
프랑스의 유명 일러스트레이터 티보 에렘의 작품이 적용된 냉장고는 이날 출시됐다.
티보 에렘은 펜과 잉크를 사용해 건물의 파사드를 섬세하게 그려내는 작가로 유명하며, 패션·호텔 등 다양한 업계와 협업을 진행해왔지만 글로벌 가전 업체와의 협업은 이번이 처음이다.
비스포크 티보 에렘 에디션은 △프랑스 3대 성(城) 중 하나이자 역대 왕들의 안식처였던 퐁텐블로의 동화 같은 풍경을 옮긴 '퐁텐블로 성(Fontainebleu)' △런던 지하철 150주년을 기념해 런던의 스카이라인을 한 캔버스에 담은 '런던 호라이즌(London Horizon)' △화재로 훼손된 노트르담을 애도하는 마음을 표현한 작가의 신작 '노트르담 성당(Notre Dame)' 등 3가지다.
비스포크 티보 에렘 에디션은 1도어·2도어·4도어 냉장고로 출시되며, 출고가는 159만9000원~704만7000원이다.
양혜순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상무는 "프리미엄 주방가구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냉장고를 합리적인 가격에 사고 싶어 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한샘과 협업을 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자체적인 연구는 물론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협업을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비스포크 인테리어'를 구현하는 제품을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 10월 스마트폰 대전···삼성·LG·애플, 신상 '뽐내기'
- 삼성전자, '삼성 AI 포럼 2020' 온라인 개최
- 삼성전자, 홈시네마 프로젝터 '더 프리미어' 출시
- 삼성전자, '갤럭시 S20 FE' 6일부터 사전 예약
- 삼성전자, '갤럭시 S20'로 촬영한 단편영화 '하트 어택' 온라인 개봉
- 삼성전자 디지털시티 찾은 조성욱 "상생 노력 높이 평가"
- 삼성, 5330개 협력사와 상생·공정거래 협약···'동행 비전' 속도
- 삼성전자, 스마트 기기 충전 신제품 출시···3개를 '한 번에'
- 삼성 '가성비甲' 갤럭시S20 FE 공개···아이폰12에 맞불
- 삼성전자, 피트니스 밴드 '갤럭시 핏2' 출시
- [신제품] 삼성전자, 맞춤형 소형 냉장고 '비스포크 큐브'
- 전 세계 삼성 TV 매장서 BTS '다이너마이트' 만난다
- 삼성전자 3Q 영업익 12.3조 '깜짝 실적'···2년 만에 최대 (종합)
- 삼성전자, 맥도날드에 스마트 사이니지 공급
- 삼성 그랑데 AI·청정스테이션, 인간공학디자인상 수상
- 삼성전자, '크리에이터 시장 겨냥' SD카드 출시
- 삼성전자, 시각장애인연합회와 TV 접근성 향상 업무협약
- [특징주] 한샘, 불법 비자금 조성 논란에 하락세
- "한샘, 홈퍼니싱 수요 증가 등 밸류 상승 이끌 것"-하이투자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