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KT가 통신사 처음으로 실물 신분증 없이도 패스(PASS) 앱의 '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이하 패스 모바일운전면허)로 KT의 유무선 통신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게 된다고 20일 밝혔다.
패스 모바일운전면허는 통신사 본인인증앱인 패스 앱에 본인명의의 운전면허증을 등록한 후 신분증명 및 운전자격 확인에 이용하는 서비스다. 지난해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술(ICT)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국내 첫 상용화된 디지털 공인 신분증이다.
KT 가입자들은 휴대폰 기기변경과 유무선 서비스 가입·변경 및 해지 업무를 진행할 때 실물 신분증 없이 KT 패스 모바일운전면허만 제시하면 된다. 신분증이 필요한 모든 업무에 패스 모바일운전면허를 적용할 수 있다. 단 인터넷TV(IPTV) 업무 처리에는 추후 적용될 예정이다.
패스 모바일운전면허는 보안성과 편의성이 강점이다. QR코드와 바코드가 노출되는 화면에 캡처 방지 기술이 적용됐으며, QR코드 유효시간인 30초를 초과할 경우 QR코드를 초기화한다. 이에 더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해 고객 정보를 보호한다. 또한 통신 서비스 가입 시 필요했던 신분증 스캔 절차를 고객이 패스 앱에서 직접 대리점 전산으로 신분증 이미지를 전송해 신분증 도용에 따른 부정 가입을 예방할 수 있다.
KT는 통신서비스 업무처리 시 패스 모바일운전면허 이용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 이날부터 KT 대리점에서 해당 서비스를 체험한 고객을 대상으로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제공 이벤트를 진행한다. 기간은 9월 30일까지다. 서비스 체험이 가능한 대리점 등 자세한 내용은 패스 앱 이벤트 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이성환 KT 5G·기가사업본부장 상무는 "KT는 신분증 없이 패스 모바일운전면허만 있으면 통신서비스를 가입하고 해지할 수 있도록 해 고객의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며 "앞으로도 KT는 고객 중심의 유연한 사고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심도 있게 고민하고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 이동통신 3사, 경찰청, 도로교통공단은 패스 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를 지난 6월 24일 출시했다. 모바일운전면허는 실물 운전면허증을 갖고 있고, 패스 앱에 가입한 고객 누구나 등록 가능하다.
- KT-MBC, '시즌'에 웹 예능 '빽 투더 아이돌' 독점 제공
- KT, 무인매장 AI 에너지 관리 서비스
- 코로나19 확산세 '심상찮다'···ICT 기업들, 재택·순환근무 '유턴'
- KT, 수해복구 성금 10억 기탁···임직원 '사랑의 봉사단' 활동
- KT,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게임박스' 상용화
- KT, 2분기 영업이익 3418억원···전년比 18.6%↑
- KT-진에어-한진정보통신, 기내 VR 서비스 제공 위해 '맞손'
- 5G 첫 품질 평가···속도 SKT·안정성 KT·커버리지 LGU+
- 과기부, 공공장소 무료 와이파이 대폭 확대
- 5G 자급제 폰도 LTE 요금제 가능···SK·KT 21일, LG 28일
- "MZ세대 마음 잡아라"···이통3사, 마케팅 열기 '후끈'
- KT, 2년 연속 '지속 가능한 글로벌 100대 기업' 선정
- KT-홍익대, 비접촉 '드라이브 인 졸업식' 진행
- KT, 우즈베키스탄에 중앙 전력관제 데이터센터 구축
- KT, 갤럭시 버즈 라이브 '레드' 단독 출시
- "네이버 앱·카톡으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 넷플릭스 법 입법 예고···'일 방문 100만명+트래픽 1% 이상' 적용
- 인기협 "과기부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개정안 전면 재검토돼야"
- 공짜 데이터 '콸콸'···과기부, 공공와이파이 연내 전국 1만개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