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KT는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에 전국 800만 가구의 전력 사용량을 관리하는 중앙 전력관제 데이터센터 구축을 완료하고 20일(현지시각) 개소식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개소식에는 이한섭 KT 기업사업제안수행2본부 본부장과 우마로브 우즈베키스탄 부총리를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데이터센터 구축은 우즈베키스탄 전체의 전력 사용을 제어하는 지능형 전기검침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KT는 이 사업에서 '중앙 집중형 스마트 미터기 관리 플랫폼(이하 KT CAS)'과 '전국 통합 데이터센터' 구축을 맡았다. 이 데이터센터에선 내년까지 우즈베키스탄 14개주에 설치 완료될 스마트 미터기 800만대의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
우즈베키스탄에선 그간 검침원이 가가호호 방문하는 수작업 전력사용량 검침으로 인해 정확한 검침과 수납이 이뤄지지 않았고, 노후화된 전력인프라에서 생기는 전력 손실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워 국가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번 KT CAS 플랫폼 및 전력분야 전국 통합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인해 우즈베키스탄 전력회사는 전국 800만 고객의 전기 사용량 및 송·배전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으며, 고객의 요금납부 유무에 따라 원격으로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전력손실 구간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됐다.
또한 KT CAS 플랫폼으로 수집된 검침 데이터들의 A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기 사용 시간대별 요금을 차등 적용함으로써 피크타임의 전기 사용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고객들은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자신의 전기 사용 현황과 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
우즈베키스탄은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미터기 연결 및 기존 과금 시스템과의 연동으로 효과적인 국가 통합 전력 운영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KT는 향후 2년간 데이터센터 운영을 지원하며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운영 및 유지보수와 관련 역량을 우즈베키스탄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우즈베키스탄 전력회사는 KT로부터 전수받은 발전된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운영 경험과 실시간 전력 분석 역량을 기반으로 국가 전력관리 혁신을 이룰 계획이다.
박윤영 KT 기업부문 사장은 "KT는 AI 통합에너지관리 플랫폼 KT-MEG을 글로벌로 확장하기 위해 우즈베키스탄에서 스마트 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KT는 이번 사업의 성공을 기반으로 스마트 에너지 사업을 중앙아시아로 확장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KT-홍익대, 비접촉 '드라이브 인 졸업식' 진행
- KT, 2년 연속 '지속 가능한 글로벌 100대 기업' 선정
- '짠물 보조금' 갤노트20···'자급제' 돌풍 이어갈까
- "MZ세대 마음 잡아라"···이통3사, 마케팅 열기 '후끈'
- 5G 자급제 폰도 LTE 요금제 가능···SK·KT 21일, LG 28일
- KT "모바일운전면허증으로 통신서비스 가입하세요"
- KT-MBC, '시즌'에 웹 예능 '빽 투더 아이돌' 독점 제공
- KT, 갤럭시 버즈 라이브 '레드' 단독 출시
- KT, 보급형 가정용 와이파이6 공유기 출시
- KT-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스마트 X랩 7기 기업 선정
- KT-동원그룹, 'AI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구축
- KT, '시즌' 개인 맞춤형 기능 도입···MZ세대 공략 강화
- KT, 3차원 공간 탐지 가능 '근거리 3D 라이다' 개발
- KT, 수시·인턴십 합쳐 400명 규모 신입 채용
- KT, 쉽고 재밌게 배우는 코딩 'AI 코딩블록'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