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SB3는 다국적제약사 로슈가 판매하는 초기 및 전이성 유방암, 전이성 위암 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다. 한국에서는 삼페넷, 유럽과 미국에서는 온트루잔트라는 이름으로 각각 허가받았다.
이번 임상 3상은 중국인 유방암 환자 총 208명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내년 1분기 첫 환자 방문이 예정돼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임상을 통해 SB3와 원조 약인 허셉틴 사이 안전성과 유효성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증명할 예정이다. 임상은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중국의 바이오기업 에퍼메드 테라퓨틱스가 함께 맡기로 했다.
에퍼메드 테라퓨틱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중국의 벤처펀드 운용사 C-브릿지 캐피탈이 설립한 바이오기업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올해 2월 C-브릿지 캐피탈과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중국 내 임상, 인허가 및 상업화 파트너십 계약을 맺은 바 있다. C-브릿지 캐피탈은 2014년 설립된 중국의 대표적인 헬스케어 벤처펀드 운용사다. 현재 운용 자산 규모는 2조원에 이른다.
앞으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C-브릿지 캐피탈과 SB3 외에도 SB11(성분명 라니비주맙,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SB12(성분명 에쿨리주맙,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SB15(성분명 애플리버셉트,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중국 내 임상, 인허가 및 상업화를 협업할 예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삼성바이오에피스,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미국 허가 신청
-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 "올해 흑자 달성 자신"
- 삼바 "유럽 바이오시밀러 3총사 매출, 3분기 만에 작년 수준"
- 삼성바이오, 베네팔리·플릭사비·임랄디 효과 확인
- 셀트리온·삼바 '200조 시장' 중국 진출 물밑작업
- 삼성바이오에피스,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유럽허가단계 돌입
- 삼성바이오에피스, '엔브렐' 바이오시밀러 미국 허가
- 삼성바이오에피스 임직원 2명 구속영장···'분식회계 의혹'
- 인천시, 셀트리온·삼바 손잡고 바이오 원자재 국산화
- 삼성바이오에피스, 황반변성치료제 'SB11' 임상 완료
- 삼성바이오에피스, 중국서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임상 개시
- 삼성바이오, 복제약 3종 유럽서 최대 매출
- 삼성바이오에피스, 유방암 바이오시밀러 '온트루잔트' 미국 출시
- 삼성바이오 베네팔리·플릭사비·임랄디, 1분기 유럽 매출 2억달러 돌파
- 삼성바이오에피스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개발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