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이사가 18일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일본 경제 대전환'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서울파이낸스DB)
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이사가 18일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일본 경제 대전환'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일본 경제가 '잃어버린 30년'을 지나 회복 국면에 진입한 데 힘입어 일본 금융회사들도 '만년 저평가' 꼬리표를 떼고 고속 성장을 하고 있다. 

일본 금융회사들이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대응해 글로벌로 영토를 대폭 확장하고, 금융의 패러다임을 '저축·대출' 등 전통 방식에서 '투자'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정부 정책에 발맞춰 다양한 금융상품을 운용하면서 새로운 성장기회를 만들어냈다는 분석이다.

저출생, 고령화 등 일본의 전철을 밟고 있는 한국 경제와 경쟁 포화 상태에 놓인 우리 금융회사들이 최근 일본의 성장 배경으로부터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우리금융그룹 산하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18일 인구구조 변화에 직면한 한국 경제에 실질적인 정책적·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일본 경제 전반을 심층 분석한 '일본 경제 대전환'을 출간하고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일본의 대표 금융그룹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MUFG) △스미토모미쓰이 파이낸셜그룹(SMFG) △미즈호 등 3사의 주가는 지난 2021년까지 10년 가까이 정체돼 있었지만 2022년부터 급격히 상승, 지난해 말엔 2021년 대비 2.6~3.0배 성장했다.

같은 기간 주가순자산비율(PBR)도 0.5배 수준에서 약 1배까지 상승했다.

3대 금융 주가 상승의 결정적 이유로는 '순이익 증가'가 꼽힌다. 10년 이상 꾸준히 공들인 글로벌 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얻기 시작하면서 전체 순이익 증가를 견인했던 것.

실제 이들 금융사가 일본 내에서 벌어들인 연간 총영업이익은 2006년 6조8000억엔(약 64조원)에서 2023년 6조엔(약 57조)으로 11% 감소했는데, 같은 기간 해외에서의 총영업이익은 1조2000억엔(약 11조원)에서 6조1000억엔(약 58조원)으로 5배 급증했다.

전체 총영업이익 중 해외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15%에서 50%로 급격히 불어났다.

일본 3대 금융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부터 글로벌 사업에 본격 뛰어들었다. 그동안 △동남아시아 현지 대형은행 지분 인수 △투트랙(동남아 소매금융-미국 기업투자은행) 전략 강화 △비은행 및 핀테크 투자 등 전략을 다각화하며 글로벌 수익 극대화를 꾀했다.

투자 중심으로 탈바꿈한 기업금융도 일본 금융회사의 성장을 뒷받침했다는 분석이다. 일본은 상업용 부동산시장이 주거용의 2.7배에 달한다.

주목할 부분은 일본 상업용 부동산시장이 팽창하면서 관련 대출 총액은 증가했지만, 부채 의존도는 낮다는 점이다. 자기자본 중심 디벨로퍼(시행사) 및 J-리츠(Reits) 등을 통해 부동산금융 생태계를 '대출'이 아닌 '투자형(型)'으로 개선했기 때문이다.

내부 기업문화 부문에서도 큰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통상 일본의 기업 문화는 보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고령화에 따른 인력난과 글로벌화에 영향을 받아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노동 인력 감소로 인재 확보가 중요해진 기업들이 △겸업 허용 △육아휴직 독려 등 일하는 방식을 유연화하며 기업문화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 눈높이에 맞는 인재 확보로 이어지면서 기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밖에 우리금융은 고령화에 따라 일본 내 자산관리 패러다임이 △생애주기별 자산관리 △주택자산 활용 △고령친화 산업 성장 △간병·치매보험 진화 △세대 간 자산 이전을 위한 신탁 활용 등으로 변화하고 있는 점을 언급하면서 비슷한 인구구조인 한국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동양·ABL생명보험을 자회사로 편입한 우리금융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 금융그룹으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 확장 방안을 고민할 방침이다. 특히, 보험사 인수를 계기로 시니어 타깃 서비스를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이사는 "우리금융그룹 차원에서 보험사 인수와 관련해 시니어 전략 부분을 진행하고 있다"며 "연구소에서도 시니어 하우징이나 시니어 케어 등에 있어 어떻게 사업전략을 구상할지 일본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있고, 현지 요양사업 시설을 집접 방문하며 내부에서 관련 내용을 공유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