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공공기관을 통해서만 이용할 수 있었던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을 은행,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회사, 대출비교 플랫폼 등 민간 금융회사를 통해서도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18일 '복합지원 추진단 제3차 회의'를 개최해 지난 1년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고도화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복합지원의 핵심은 흩어져 있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자가 어느 기관을 방문하더라도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대국민 접점 및 연계 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복합지원 정책을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올해 1월부터 각 부처·기관에 산재돼 있는 금융·고용·복지 지원정책을 수요자 입장에서 재편·연계하는 '복합지원'을 제공해왔다.
지난 1년간 약 7만2000명이 복합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채무조정을 3회 이상 받은 연체자의 비중도 복합지원을 받지 않은 채무자의 경우 8.1%였는데, 복합지원을 받은 경우 2.2%로 크게 낮아져 정책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당국은 복합지원 정책 고도화 일환으로 민간 금융회사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은행권은 물론 서민·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저축은행, 여전사, 대출비교 플랫폼도 복합지원 안내에 참여한다.
복합지원 분야도 확대된다. 고용 분야에서 근로복지공단의 직업훈련 생계비대부 사업(금리 1%·최대1000만원)이 추가 연계된다. 지원 요건을 충족하는 상담자는 서금센터를 통해서도 근로복지공단의 저금리대출 서비스 접근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주거 분야에서는 서금센터-한국주택금융공사 간 전산연계 시스템이 구축된다. 서민금융 성실상환자 등이 특례전세자금보증을 받고자 할 때 증빙자료를 수기 제출해야 하는 불편이 사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을 시작으로, 각종 직종단체가 제공 중인 지원 사업을 서금센터에서도 안내받을 수 있도록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복합지원 이용 가능 여부를 객관적인 자료에 기초해 보다 정확하게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현행 복합지원 상담은 주관적인 진술에 기초해 이뤄지고 있어 상담원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판단·안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내년 말부터는 공공마이데이터를 통해 파악한 고객의 다양한 정보를 복합지원 상담에 활용,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상담 및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민금융진흥원·신용회복위원회 상담 인력을 증원한다. 복합지원 업무 우수자 표창을 통해 사기를 높이고, 복합지원 전문가 교육과정을 신설, 상담원 전문성도 향상한다.
또 올해 6월 발표된 불법사금융 관련 과제를 조기 추진한다. 서금센터-금융감독원 간 불법사금융 전산 시스템을 내년 4분기까지 연계한다. 전산 연계 이전에도 서금센터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금감원 신고절차 안내 등을 강화하고, 불법사금융 관련 금감원 조직을 확대하는 등 불법사금융 관련 유관기관 간 협업을 강화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