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보험사 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최고 13%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상황이 이어진 영향인데, 보험사들이 자금난을 대비해 약관대출 한도를 줄이는 등 대출 문턱까지 높이고 있어 서민들의 급전 마련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지적이다.
17일 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 등에 따르면 손해보험사 중 지난해 11월 기준 무증빙형 일반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KB손해보험으로 12.98%를 기록했다. 흥국화재가 12.71%으로 그 뒤를 이었다. KB손해보험은 작년 10월과 비교해 무증빙형 일반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0.30%포인트(p), 흥국화재는 0.37%p 상승한 수준이다.
신용점수가 900점을 초과하는 우량 고객도 작년 11월 기준 무증빙형 일반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10%를 넘는 경우도 있었다. KB손해보험이 10.35%를 기록했고, 흥국화재는 9.50%, 현대해상은 8.86%였다.
생명보험사의 경우 작년 11월 기준 무증빙형 일반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교보생명이 10.35%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한화생명(10.10%), 흥국생명(9.85%), 신한라이프(9.56%), 삼성생명(9.39%) 순이다.
작년 11월 기준 무증빙형 일반신용대출 중 평균 금리 '15% 이상~20% 미만'의 고금리 취급 비중은 흥국생명과 교보생명이 높았다. 각각 전체의 3.0%와 2.9%를 차지했다.
금리가 오른 동시에 보험사들은 약관대출도 줄이고 있다. 약관대출은 대출 심사가 필요 없고, 중도상환 수수료나 연체 이자도 없어 급전이 필요한 고객이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대출이다.
현대해상은 최근 일부 보장성 상품의 약관대출 한도를 해약환급금의 60%에서 만기에 따라 0~60% 이내 범위로 차등 적용하기로 했다. 신한라이프도 최근 일부 상품의 약관대출 한도를 해약환급금의 95%에서 90%로 하향 조정했다.
금리 상승과 높아진 대출 문턱으로 급전이 필요한 고객들의 어려움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총 8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 보험사들이 고객의 어려움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지난해 1~3분기 전체 생명보험사의 순이익은 2조9437억원이다. 교보생명이 3947억원, 신한라이프가 3679억원, 삼성생명이 6405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전체 손해보험사의 지난해 1~3분기 순이익은 4조8174억원이다. 삼성화재가 1조325억원, DB손해보험이 8170억원, 메리츠화재가 7209억원의 순이익을 얻었다. 작년 4분기는 어려웠지만 1~3분기 순이익이 높아 생·손보사의 순이익을 모두 합치면 8조원을 넘길 걸로 보인다.
- 보험업계, 올해 경영전략 키워드···'리스크 관리·차별화·신성장동력'
- 교보생명, 3월까지 대출중개플랫폼서 약관대출 노출 제한
- 금감원, 금융상품 비교공시 시스템 개선···검색기능 강화
- [금융T!P] "보험계약 중도해지 앞서 계약대출 등 방안 먼저 알아보세요"
- [신상품] DB손해보험 '나에게 맞춘 생활종합보험'
- 정지원 손보협회장 "신 위험 보장강화·신뢰 회복·내실화 추진"
- 교보생명,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 선봬
- 메리츠화재, 작년 당기순익 8683억원···전년比 30.9%↑
- 현대해상, 지난해 순익 5746억···전년比 32.8%↑
- 교보생명, 금융지주사 설립 추진···"내년 하반기 출범 목표"
- 삼성생명, 컨설턴트 교육체계 개편···"전문 역량 강화"
- 현대해상,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피해 성금 10만달러 전달
- 삼성화재, 작년 당기순이익 1조1414억원···전년比 4.5%↑
- 삼성생명, 지난해 당기순익 1조5833억원···전년比 7.8%↑
- DB손보, 지난해 당기순이익 9806억원···전년比 26.2%↑
- 흥국생명, 임직원 대상 '정보보호의 날' 활동
- '영끌에서 생계로', 급증하는 '불황형 대출'···보험사 약관대출 '불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