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한국 조선업계가 지난달 중국을 2배 이상의 격차로 따돌리고 1위 자리를 되찾았다.
8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129만CGT(표준선 환산톤수·41척)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한국이 86만CGT(16척·67%)를 휩쓸며 3개월 만에 수주 1위를 탈환했다.
중국은 한국의 절반도 안 되는 34만CGT(15척·26%)를 수주하는데 그쳤고 일본은 4만CGT(3척·3%)에 불과했다.
1∼2월 글로벌 누계 수주는 512만CGT로, 한국은 281만CGT(56척·55%)를 수주해 과반을 차지하면서 201만CGT(61척·39%)에 그친 중국을 크게 앞질렀다.
선종별 수주 현황을 살펴보면 대형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이 총 22척 발주됐고 이 중 한국과 중국이 각각 16척, 6척을 나눠 가졌다. 14만㎥ (입방미터) 이상 대형 액화천연가스(LNG)선 22척도 한국과 중국이 각각 15척, 7척을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말 기준 세계 수주잔량은 1월 말 대비 56만CGT 감소한 9173만CGT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60만CGT 증가했지만 중국과 일본은 각각 1만CGT, 27만CGT 감소했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전월 대비 0.47포인트 상승한 154.73을 나타내며 15개월 연속 상승했다.
선종별로는 17만4000㎥ 이상 LNG선의 가격이 2억1400만달러에서 2억1800만달러로 상승했고, 1만3000∼1만4000TEU 컨테이너선의 가격은 1억4850만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지난달 전세계에서 발주된 LNG선 7척을 모두 휩쓰는 등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LNG 부분에 강점을 보이고 있다"며 "곧 계약이 본격화되는 카타르 프로젝트와 관련해서도 대량 수주가 기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 물동량·선박 수요↑···조선 빅3, 연초부터 '수주사냥'
- 우크라 침공에 韓기업 피해 현실화···주력산업 모두 영향권
- 울산 현대미포조선소서 근로자 작업 중 화상···"소화기 미작동"
- 한국조선·대우조선해양, M&A 무산 딛고 연초부터 잇달아 '잭팟'
- 수출입은행 "올해 국내 조선업계 수주량 25.4%↓"
- 'M&A 불발' 갈 곳 잃은 대우조선해양···정부·산은 '새 주인 찾기' 고심
- 韓조선, 지난해 수주 1위 중국에 내줘···"고부가가치 집중"
- '흑자전환 목표' 조선 빅3 CEO, 친환경 '승부수'
- 韓 조선, 1분기 전 세계 선박 절반 쓸었다
- 수주 탄력에도···조선업, 후판가 인상에 흑자전환 '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