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월 새마을금고·신협 대출 증가폭 역대 최대
작년 11월 새마을금고·신협 대출 증가폭 역대 최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마을금고 5.3조↑·신용협동조합 2.3조↑
기업대출 증가폭中 부동산 담보 대출↑
"총량관리發 풍선효과 탓에 일시적 폭증"
신용협동조합(왼쪽)과 새마을금고 본사. (사진= 각 사)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지난해 11월 새마을금고와 신용협동조합 등에서 기업의 부동산 관련 대출 중심의 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각에서는 부동산 대출 비중 증가에 따른 위험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이는 총량관리발(發) 풍선효과에 따른 일시적인 영향으로, 오름폭의 추이가 확대될 것인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1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새마을금고의 총대출액은 173조732억원으로 직전월인 10월(167조7432억원)과 비교해 5조3300억원(3.07%)이 늘었다. 이는 월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수준이며, 전월 증가액(3조6490억원)보다 무려 46%나 급증한 셈이다.

같은 달 신협의 대출액도 92조5505억원을 기록해 전월(90조2340억원)보다 2조3165억원(2.50%) 확대됐다. 역시 월간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직전월 증가액인 1조5410억원과 비교해 50% 확대됐다.

이처럼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인 상호금융기관의 대출증가폭이 확대된 데에는 주로 기업대출에서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금융당국에서 내놓은 '가계대출 동향'을 보면 새마을금고와 신협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11월 각각 1조4600억원, 9400억원 확대됐으며, 이는 전체 대출 증가액의 각각 27.39%, 40.58% 수준을 차지했다. 즉, 대출액 증가 규모 가운데 기업 대출이 큰 폭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특히 기업대출 중 상당 부분이 부동산 관련 대출과 무관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은은 최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지난 2016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비은행금융기관(새마을금고 제외)의 기업대출 중 부동산 관련 대출이 60.8%를 차지했다고 분석했다. 최근 부동산 업계에서는 기업대출로 묶이는 개인사업자대출 등이 사업 목적과 무관한 투자에 이용되는 상황이 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실제 지난해 아파트값 누적 상승률은 13.19%로 지난 2006년(13.9%)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는데, 기업 역시 이런 기대감에 편승해 관련 대출을 늘렸다는 지적이다.

다만, 이같은 급등세는 일시적인 흐름에 머무를 수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가계대출 폭증세를 막기 위해 모든 금융권 내 대출총량 관리 규제를 적용하는 등 대출을 죄기 시작했고, 급기야 은행권에선 대출 중단 사태까지 벌어졌다. 이에 풍선효과로 이용자들이 비은행권 금융기관으로 넘어갔지만, 새마을금고 및 신협 등도 지난해 11월말부터 주택구입목적의 대출상품을 제한한 바 있다.

아울러 코로나19 이후 대출만기연장, 원리금상환유예 등 관련 금융지원에 따른 자영업자·소상공인을 포함한 중소기업 중심의 대출 수요도 여전하다. 지난달 은행권 기업대출(-2조8000억원)의 경우 계절 요인 등으로 감소 전환하기는 했지만, 시설자금 수요는 지속되고 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상호금융 업계 역시 이같은 지적에 대해 수용하면서도, 일시적인 급등세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한 상호금융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8~9월 대출 수요가 폭증했고, 은행권 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로 대출 수요가 상호금융 쪽으로 몰려온 것은 사실일 것"이라면서도 "다만 기업대출의 경우 코로나 지원 성격의 금융지원도 있고, 최근 금융당국의 감독 및 규제에 있어 담보대출 부문에선 차이가 크지 않다. 상호금융쪽으로도 정부에서 리스크 관리를 하고 있으며, 급증세가 현재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