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올해 3분기 전 세계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시장이 전 분기보다 약 12% 성장한 가운데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대만의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전체 파운드리 시장 매출의 97%를 차지하는 상위 10대 기업의 올해 3분기 매출은 직전 분기보다 11.8% 증가한 272억7700만달러(약 32조641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9년 3분기 이후 9분기 연속 최대 규모를 경신하는 수준이다. 트렌드포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률 상승에 따라 코로나 특수가 줄었지만 스마트폰 성수기 진입의 영향으로 파운드리 주문량이 늘었다"며 "올해 3분기 내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평균 판매가격(ASP)도 상승해 분기별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의 3분기 파운드리 매출은 2분기보다 11.0% 증가한 48억1000만달러(약 5조6541억)를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 대비 11.9% 늘어나 올해 3분기 매출 148억8000만달러(약 17조4914억)를 거둔 TSMC에 이어 2위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하반기 스마트폰 신규 모델 출시로 모바일 시스템온칩(SoC),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 등 파운드리 수요가 늘었고, 올해 초 한파로 생산 차질이 발생한 미국 오스틴 팹 정상화와 평택 S5 라인 가동에 따라 매출이 증가했다고 트렌드포스는 설명했다.
다만 시장 평균 성장률(11.8%)을 하회하면서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점유율은 2분기 17.3%에서 3분기 17.1%로 0.2%포인트(p) 하락했다. 반면 글로벌 파운드리 업계 1위 기업인 대만의 TSMC는 올해 2분기 52.9%에서 3분기 53.1%로 점유율을 0.2%p 끌어올리며 삼성전자와 격차를 벌렸다. 점유율 격차는 올해 2분기 35.6%p에서 3분기 36.0%p가 됐다. 3위 대만의 UMC는 7.3%, 4위 미국 글로벌파운드리스는 6.1%, 5위 중국 SMIC는 5.0%의 점유율을 각각 기록했다.
트렌드포스는 4분기 전망에 대해 "5G 이동통신, 사물인터넷과 관련한 반도체 수요 증가로 파운드리 공급부족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4분기에도 파운드리 시장 매출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삼성, 첨단 차량용 시스템반도체 3종 공개
- 이재용 "냉혹한 현실"...파운드리 투자로 '뉴삼성' 본격 시동
- [초점] 삼성, 美 신공장 '테일러' 선정 배경은?···TSMC '맹추격'
- 삼성전자, 美 테일러시에 '20조 제2파운드리 공장' 짓는다(종합)
- WSJ "삼성 美 파운드리 제2공장, 테일러 확정···곧 발표"
- 이재용 "아무도 가보지 않은 미래 개척하자"···'뉴삼성' 강조
- [초점] '분초단위' 美 정·재계 종횡무진한 이재용···방미 성과는?
- 이재용, 美 정재계 핵심인사 연쇄 회동···"반도체2공장 곧 발표"
- "데이터 중심 시대, 파운드리 생태계 강화"···삼성전자 '2021 SAFE' 포럼
- 삼성 양문형 냉장고, 獨 소비자 매체 평가 1위
- 삼성전자, 국내 스마트폰 점유율 85%···"LG전자 점유율 흡수"
- 내 폰 안의 '블랙박스'···나를 지켜주는 앱은?
- 삼성전자, 올해 3분기 세계 43개국 스마트폰 시장서 1위
- [2021 전자결산①] 반도체 코로나 특수 지속···美·中 갈등은 확대
- 파운드리 '쩐의 전쟁'···삼성·TSMC·인텔, 투자 경쟁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