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올해 3분기 전 세계 43개 국가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15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가 분기별로 트래킹하고 있는 약 80개 국가의 브랜드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 3분기 삼성은 브라질, 러시아, 이집트, 독일 등 43 개 국가에서 1위를 수성했다.
주로 안드로이드가 강세인 국가에서 삼성 점유율이 높았던 가운데 특히 한국에서는 84%, 루마니아 60%, 베네수엘라 58%, 브라질 52%를 각각 기록하며 과반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거 대비 1위 점유 국가 개수는 차츰 줄어들고 있는 추세로 2019년 3분기 46개국 규모에서 지난해 동기간에는 45개, 올 3분기는 43개로 점차 감소했다.
미국과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애플 충성고객이 지배적이며, 샤오미가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인도 및 모토롤라가 LG의 공백을 흡수하며 입지를 확대하고 있는 멕시코 등에서는 삼성이 선두에서 밀리고 있다.
이윤정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3분기 삼성의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20%를 기록하며, 코로나19 락다운으로 베트남·인도 생산차질을 빚었던 2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였다"며 "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 점유율은 2%p하락했고, 1위 점유 국가 개수도 점차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화웨이와 LG 공백에 따른 반사수혜를 노린 중국 브랜드들의 공격적인 행보와 프리미엄 라인에서의 애플 선전에 따른 경합이 한층 심화된 영향으로 분석된다"며 "삼성은 고도화된 기술을 요구하는 폴더블폰의 기술 노하우와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폴더블 시장내 초격차를 확대해야 하는 것은 물론 인도, 중국, 중남미 등 신흥시장에서 엔트리급 5G 스마트폰 라인업 확대와 브랜드 이미지 및 인지도 개선 등에 주력할 필요가 있겠다"라고 덧붙였다.
- LG전자, CES 2022 온라인 전시 초청···'라이브스타일 혁신' 소개
- "LG 주방 新가전 3총사와 함께하는 1박2일 여행"
- 삼성 갤럭시, 11년째 韓 '1등 브랜드'···미래에셋證·대한항공도 '고공점프'
- SKT, 블록체인 기술로 코로나19 백신 접종 정보 제공
- 내 폰 안의 '블랙박스'···나를 지켜주는 앱은?
- 삼성전자, 국내 스마트폰 점유율 85%···"LG전자 점유율 흡수"
- [신차] 현대차, 6인승 추가한 '2022 싼타페' 출시
- LG이노텍, '무역의 날' 산업포장 수상
- 파운드리 시장 12% 성장···삼성전자, 1위 TSMC와 격차 확대
- LG전자, CES 2022서 새로운 디지털 경험 선보인다
- 한종희 부회장 취임일성 "벽 허물고 '원삼성' 만들자"
- 삼성, 8년 만에 '특별보너스'···기본급 최대 200% 쏜다
- 삼성 라이프스타일 TV, 디지털 캔버스 되다
- 삼성, 차세대 서버용 SSD 개발···"읽기·쓰기 속도 1.9배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