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정부가 수소경제 선도국가 도약을 위해 2050년까지 전국에 수소충전소 2000기 이상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수소 공급도 100% 그린·블루수소로만 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김부겸 총리 주재로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내놨다.
기본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50년까지 연간 2790만톤(t)의 수소를 그린·블루수소로 공급한다.
그린수소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전력을 활용해 물에서 전기분해한 수소이고, 블루수소는 부생수소나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빼내고 남은 가스에서 탄소를 포집해 탄소배출을 최소화한 청정수소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연25만t 규모로 구축하고 단가를 1㎏ 당 3500원으로 낮춘다. 그리고 2050년에는 연간 300만t 규모로 시설을 늘려 단가를 1㎏ 2500원으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또 탄소저장소를 2030년까지 9억t 이상 확보해 블루수소를 2030년 연간 75만t, 2050년까지 연간 200만t 생산한다는 전략이다.
해외 수소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해외 재생에너지-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해 2050년까지 40개 수소공급망 확보도 추진한다.
정부는 수소 충전 인프라도 확대한다.
기존 항만도시 2개를 시작으로 암모니아 혼소 대상 석탄발전소, LNG발전소, 산업단지 인근으로 수소항만을 확대하고, 수소 액화 플랜트 구축, 암모니아-수소변환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 수소 생산·도입 지역을 거점으로 수소배관망을 구축하고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수소충전소는 내년 310기, 2025년 450기, 2030년 660기, 2040년 1200기, 2050년 2000기 이상 구축할 방침이다. 이 경우 2025년에는 전국 시·군구에 충전소가 1기씩 배치되고, 2030년에는 주요도시에서 20분 이내, 2040년에는 15분 이내에 수소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게될 전망이다.
수소를 활용한 전력발전 설비도 확대한다.
데이터센터, 산업단지, 대형건물, 신규 아파트 단지 등에 연료전지 발전 설비를 보급하고, 암모니아 혼소 발전 등으로 석탄발전소를 대체한다. 노후 가스터빈 연소기 개조 등을 통해 LNG수소 혼소·전소 터빈도 상용화한다.
이를 통해 지난해 3.5테라와트시(TWh) 수준인 수소발전량을 2050년 287.9(TWh)로 늘려나간다.
산업분야에서 수소활용 확대를 위해 신규·노후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수소연료 사용을 유도하고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온실가스 고배출 산업을 대상으로 연료·원료의 수소 대체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수소에 대한 범부처 연구개발(R&D)을 추진하고, 수소융합대학원을 신설해 전문인력을 양성, 국제 표준 선점을 추진해 생태계 기반을 강화한다.
정부는 전략이 차질없이 이행되면 수소가 2050년 최종 에너지 소비의 33%, 발전량의 23.8% 비중을 차지해 석유를 제치고 단일 에너지원으로써는 최대 에너지원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 총리는 "수소경제는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로 모든 나라에서 출발선이 동일한 만큼 정부와 기업, 국민이 모두 힘을 모으면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 SK E&S, 25만톤 규모 보령 청정수소 생산기반 구축 협약
- [미래차 콘퍼런스 2021] "운송분야 온실가스 못 줄이면 탄소중립 어려워"
- 두산중공업-남부발전, 그린 수소터빈 발전소 실증 협약
- 文 "국가적 역량 모아 수소경제 선도"···정부-기업 '원팀' 강조
- 두산퓨얼셀, 1.8MW 규모 수소연료전지 첫 수출
- 수소버스 하루 72대 충전 '융복합 수소충전소' 6곳 구축
- 수소협의체 출범···기업 총수들 "수소 경제 협력" 한 목소리
- 韓 수소위 발족··· 정의선·최태원·최정우·신동빈 '어벤저스' 총출동(종합)
- ㈜두산, '그린수소 대량생산' 수전해 기술 확보 박차
- 정부-민간, '세계 1위 수소·암모니아 발전' 로드맵 마련·실증 추진
- 반세기 가동한 최고령 석탄발전소 퇴역
- 한국가스공사-특허청, 그린수소 핵심 기술 개발 MOU
- 정부, 내년부터 청정수소발전제도 도입···수소기업 간담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