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혁신형 의료기기기업과 혁신의료기기를 지정해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이에 따라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진단키트 수출로 성과를 올리고 있는 국내 의료기기 산업계에서 혁신제품의 개발과 사업화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21일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런 내용의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의료기기산업법) 시행령 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시행령은 5월1일부터 시행된다.
시행령은 연간 의료기기 매출액 500억원을 기준으로 일정 규모 이상 연구개발(R&D)에 투자한 기업이나 혁신의료기기를 연구개발·생산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전담인력·조직 보유 여부, 의료기기 연구개발 투자실적, 연구개발 목표 및 중장기 전략을 기준으로 혁신 선도형과 혁신 도약형으로 구분해 혁신기업으로 지정할 수 있게 했다.
2018년 기준 국내 의료기기 업계 현황을 보면, 총 3283개 의료기기 기업 중에서 81%가 매출 10억원 미만으로 영세하다. 시행령은 의료기기 연구개발 촉진, 치료법 개선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으로 분야를 구분해 혁신의료기기군으로 지정, 지원할 수 있게 했다.
의료기기산업 육성·지원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구성·운영해 의료기기산업 발전 종합계획에 따른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 추진하도록 했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로 지정해 운영하도록 했다.
이날 국무회의에서는 현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수행하는 외국인환자 유치의료기관 평가 및 지정 업무 중 일부를 의료기관평가인증원으로 재위탁하고 재위탁 업무 범위와 기준을 규정한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안도 의결됐다.
- 첨단재생바이오법 시행령 입법예고
- 코로나19 치료제 심사·허가 단축···약물 재창출 '7일 이내'
- 식약처 '맞춤형 바이오시밀러' 개발 돕는다
- 식약처 "신약개발 촉진하고 안전관리 강화"
- 식약처, AI 기반 암진단 소프트웨어 첫 허가
- 식약처, 코로나19 치료제 우선·신속 심사···대상은?
- 씨젠 코로나19 진단키트, 미국서 '긴급사용' 승인
- 'K-의료기기' 키운다···정부, 경쟁력 강화에 1조2천억 투입
- 국내 의료기기 생산액 7조원 돌파···임플란트 3년 연속 1위
- 정부, 코로나19 진단키트 '혁신 의료기기'로 지정·지원
- 정부, 신개발의료기기 신속 출시 지원
- GC녹십자의료재단, 체외진단의료기기 성능시험기관 지정
- 정부 올해 875억원 들여 'K-의료기기' 육성
- 휴대용 의약품 흡입기 부당광고 150건 적발
- 식약처 '혁신의료기기' 추가···파킨슨병 진단 SW와 유방암 수술 보조 제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