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AI 관련 악재들이 나타나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하게 위축, 코스피가 3% 넘게 급락하면서 3950선에서 마쳤다. 코스피는 7거래일만에 4000선을 내줬다.

18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대비 135.63p(3.32%) 하락한 3953.62로 마쳤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4.78p(1.10%) 내린 4044.47에서 시작해 오후 12시경 4000선이 깨지면서 단번에 3950선까지 밀려났다.

이날 외국인은 7811억원어치를 팔았다. 외국인은 이날 SK하이닉스를 3708억원어치 팔았다. 삼성전자는 839억원 순매수했다.

기관도 7166억원 순매도했다. 개인은 이들 물량을 받으면서 1조4834억원어치 샀다.

프로그램매매는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 모두 매도 우위를 기록해 총 9830억5400만원 순매도로 마쳤다.

이날 국내 증시는 미국의 AI 거품론 경계감을 이어받아 반도체·AI를 중심으로 하락했다. 코스피 대형주 중에서 가장 큰 하락을 보인 종목은 한미반도체(-8.01%), SK스퀘어(-6.90%) 였다. SK하이닉스(-5.94%), 이수페타시스(-5.93%), 삼성전기(-5.34%) 등의 하락폭도 컸다.

범 AI 종목으로 분류된 SK이노베이션(-5.15%), 삼성SDI(-4.89%), LG에너지솔루션(-4.32%), 포스코퓨처엠(-4.31%) 등 이차전지와 효성중공업(-4.11%), HD현대일렉트릭(-3.33%), LS ELECTRIC(-2.34%) 등 전력기기 종목도 내렸다.

이날 장 초반 강세 출발했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5.92%), LIG넥스원(-5.76%), 한화시스템(-5.62%), 현대로템(-4.83%) 등 방산도 내림세로 마쳤다.

일부에서는 유동성 부족 문제도 꼽았다. 미국 행정부의 셧다운이 해소됐으나 재무부가 보유한 일반계정(TGA) 잔고가 시장에 풀리는데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코스피 시장에서 상승한 종목은 83개에 불과했다. 하락종목은 821개였다. 보합은 24개다. 

코스닥은 전거래일 대비 23.97p(2.66%) 하락한 878.70으로 마쳤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서는 인벤티지랩(9.68%), 케어젠(3.92%), 알테오젠(2.01%), 디앤디파마텍(1.65), 엘앤씨바이오(1.60%), 보로노이(1.30%) 등 제약주 일부만 올랐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상승 종목이 217개, 하락종목은 1464개, 보합은 54개였다.

임정은, 태윤선 KB증권 연구원은 "AI 관련 악재들에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며 코스피가 7거래일만에 4000선을 하회했다"면서 "소프트뱅크에 이어 피터 틸의 헤지펀드 틸 매크로가 지난 분기 엔비디아 지분을 전량 매도한 사실이 확인되며 AI 고평가 논란을 확대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9월 이후 오라클(180억달러), 메타(300억달러), 알파벳(250억달러)이 대규모 회사채를 발행한 데 이어 아마존도 150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함에 따라 수익성 연결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증폭됐다"고 부연했다.

임 연구원은 "다만, 이날 외국인 매도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고 급락세가 한국 증시 뿐만 아니라 일본 대만 등에도 나타났다"며 "약세장 전환의 신호보다는 10월 급등 부담에 따른 쉼표 구간이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