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게재된 매물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게재된 매물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3분기 국내 가계빚 증가폭이 전분기 대비 10조원 넘게 축소됐다. 증가세 자체는 1년 반째 이어지고 있지만,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빚 증가규모가 한풀 꺾였단 진단이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이 1968조3000억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0.8%(14조9000억원) 증가했다. 

전분기(25조1000억원)와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다만 6개 분기 연속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역대 최대치 경신도 지속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판매신용(카드대금)을 뺀 가계대출 잔액은 1845조원으로 전분기와 비교해 12조원 증가했는데, 전분기(23조6000억원)에 비해 증가폭은 축소됐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잔액(1159조6000억원)은 전분기 대비 11조6000억원 늘었으며,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685조4000억원)은 3000억원 증가에 그쳤다. 전분기 증가폭과 비교하면 주담대는 2조8000억원 축소에 그쳤지만, 기타대출은 8조9000억원이나 쪼그라든 것이 눈에 띈다.

3분기 가계신용 증가폭이 축소된 배경은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은 관계자는 "주담대는 가계부채 관리 방안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며 "기타대출 역시 6.27 대책의 영향으로 신용대출 한도가 차주별 연소득 이내로 제한되면서 증가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기관별로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이 주담대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10조1000억원, 상호금융·저축은행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은 2조원씩 늘었다. 다만 기타금융기관 등의 가계대출은 증권사를 중심으로 1000억원 감소 전환했다.

이밖에 판매신용은 신용카드 이용규모가 늘며 전분기 대비 3조원 증가했다. 전분기(1조5000억원)와 비교해 증가폭이 확대됐는데, 이는 휴가철 신용카드 사용과 지방세 납부 수요 증가 등으로 신용카드 이용규모가 늘었기 때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