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금융연구원은 내년 우리나라 경제가 내수를 중심으로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그간 성장세를 견인했던 수출은 미국 관세 정책 여파에 성장률이 1%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연구원은 11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6년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에서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올해 1.0%에서 내년 2.1%로 확대될 것이라 내다봤다.
이에 대해 김현태 거시경제연구실장은 "민간소비와 정부소비가 동반 회복하는 가운데, 건설투자가 기저효과로 소폭 반등할 것"이라며 "설비투자도 완만하게 증가하는 등 내수 회복이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실제 연구원은 민간소비 성장률이 올해 1.3%에서 내년 1.6%로 0.3%포인트(p)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소비쿠폰 효과와 내년 소비부양책 등으로 민간소비가 내년 상반기까지 견조한 회복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소득 여건의 구조적인 개선이 불투명한 데다, 금리 인하 속도도 더딜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소비회복세가 점차 완만해질 것으로 보인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올해 -8.9%에서 내년 2.6%로 증가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작년과 올해 기저효과에 수주 회복이 점진적으로 반영될 것이란 설명이다.
반면 설비투자 증가율은 올해 2.4%에서 내년 2.0%로 소폭 둔화될 전망이다.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수요가 완만한 성장세를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출 부문에선 성장세가 꺾일 전망이다. 연구원은 총수출 증가율이 올해 4.0%에서 내년 0.8%로 크게 둔화될 것이며, 총수입 증가율 역시 4.0%에서 1.1%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실장은 "관세에 따른 글로벌 교역량 감소로 순수출 기여도가 하락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이로 인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 역시 올해 1115억달러에서 내년 1070억달러로 소폭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물가상승률은 올해 2.0%에서 내년 1.8%로 낮아질 전망이다. 글로벌 교역 둔화와 유가 하락 기대감과 미국 금리 인하 기조에 따른 원·달러 환율 하락 가능성, 지정학적 위험 감소 등이 배경이다.
다만 향후 물가 경로에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경제 정책과 글로벌 경기 움직임, 지정학적 위험 동향, 미국과 한국의 금리인하 경로 등이 불확실성으로 남아있다는 설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