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성균관대학교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리튬이온전지의 저온성능과 열안전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전해질 핵심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공동연구팀은 영하 20도에서도 100회 사이클 후 기존 전해질 대비 월등한 약 87%의 용량을 유지하고, 열폭주를 약 90% 이상 억제할 수 있는 전해질 핵심 기술 연구 개발에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와 '저널 오브 머테리얼스 케미스트리 에이'에 게재됐다.
이번에 개발한 핵심 기술은 알릴 트리메틸 포스포늄(APT) 계열 이온성 화합물을 활용한 전해질 기술이다. 이온성 화합물은 플러스와 마이너스 전하를 띠는 이온들이 자석처럼 강하게 결합해 만들어진 물질로, 전해질 내에서 이온을 이동시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중 APT 계열 이온성 화합물은 단순 첨가제 기능을 넘어, 전해질 동결점을 낮추고 계면 반응을 조절하는 다기능성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공동연구팀은 이 물질을 전해질 내에 도입함으로써 리튬이온전지 성능 저하 주요 원인인 저온 이온 이동 저하와 계면 불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실제 이 기술이 적용된 배터리 셀은 영하 20도의 악조건에서 100회 사이클 후 약 87%의 높은 용량 유지율을 달성하며 저온 환경에서의 월등한 성능을 입증했다. 기존 배터리 셀의 경우 동일한 조건에서 약 10% 안팎의 용량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번 연구는 LG에너지솔루션의 셀 제작 및 분석 인프라, POSTECH의 이온성 화합물 합성 역량, 성균관대의 계면 분석 기술이 결합된 협업의 결과물로 국내 배터리 연구의 국제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는 평가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하나의 이온성 화합물 플랫폼으로 성능과 안전성이라는 상충된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킨 혁신적 사례"라며 "APT 기반 전해질 기술은 전기차뿐 아니라 극저온 환경용 배터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고객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