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일본이 2040년까지 수소 도입 목표를 1200만 톤(t)으로 확대하고 15년간 3조엔(약 28조원) 규모의 보조금을 투입한다.
KOTRA는 25일 '일본 수소 산업 정책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하고 지난달 23일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언급된 양국 수소 생태계 협력 유망 분야를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일본은 수소 산업 육성에서도 정부 주도의 정책 드라이브가 두드러진다. 2023년 '수소 기본전략'에서 기존 2030년 300만t, 2050년 2000만t 목표에 더해 2040년 1200만t 도입 계획을 추가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3조엔 규모 보조금을 15년간 지원하고 수소·암모니아 수입·저장 거점 조성에도 올해 57억엔을 투입한다.
일본은 저장·운송·발전 분야 전반에서 수소 산업을 발전시킨다는 목표다. 세계 최초 액화수소 운반선을 개발한 가와사키중공업, 고효율 수소 터빈을 상용화한 미쓰비시중공업 등이 대표 기업이다.
이 같은 기반을 바탕으로 보고서는 한·일 협력 확대 가능성도 제시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가 양국을 2050년 최대 수소 수입국으로 전망한 만큼 공동 R&D, 제3국 동반 진출, 인증·표준 통합 등이 유망 협력 분야다.
수소 산업은 양국 무역진흥기관 간 협력에서도 주요 의제로 다뤄진다. KOTRA와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는 30일 도쿄에서 정기협의회를 열고 수소 및 이차전지, 반도체, 조선을 4대 핵심산업으로 정해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KOTRA는 2026년부터 일본 내 4개 무역관에 산업별 전담 기능을 부여해 수출지원, 공급망 구축, 공동 연구개발, 투자·인력 교류 등 협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최정락 KOTRA 나고야무역관장은 "일본 수소 생태계는 아직 태동 단계지만 정부 및 대기업 주도로 빠르게 성장 구조를 갖춰가고 있다"며 "본격적인 수소경제 전환에 앞서 한·일 기업 협력은 양국을 글로벌 시장의 핵심 축으로 성장시키는 상생의 발판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