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사진=한국은행)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사진=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이 현재까지 제한적이었던 가운데, 향후 부정적 여파가 본격화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미 대미(對美) 철강과 자동차부품 수출을 중심으로 관세 영향이 확대되고 있으며, 주력 품목인 자동차 수출도 점차 타격이 커질 것이란 관측이다.

11일 한국은행 조사국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9월)'를 통해 "상반기까지는 미국 기업의 재고 축적과 여타 국가의 대미 선수출 효과, 기업의 관세부담 분담 등으로 관세정책의 영향이 제한적이었지만, 앞으로는 그 영향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당 분석에 따르면 경제성장의 경우 관세 인상이 없었을 경우에 비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0.45%포인트(p), 0.60%p씩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미 관세로 교역이 위축된 부분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0.23%p, 0.34%p 낮추는 것으로 추정된다. 품목별로는 대미 수출 비중이 크고 관세율이 높은 금속, 자동차, 기계 등의 업종에서 수출 감소의 영향이 컸다.

금융 측면에서는 관세 부과로 인한 미국 물가상승 압력이 미 통화정책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여건 완화가 지연됨에 따라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각각 0.09%p, 0.10%p 낮아졌다.

이밖에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지면서 투자와 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에 따라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각각 0.13%p, 0.16%p 낮아지게 된다.

물가에 대한 영향도 뚜렷하다. 미국 관세 부과로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0.15%p, 0.25%p 낮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통상 공급망 교란, 환율 상승 등이 물가의 상방압력으로 작용하지만, 국내외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측 하방압력과 국제유가 하락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데 기인한다.

한은 조사국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관세가 점차 전가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확대되고 있고, 수입이 2분기 들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에 영향받아 여타 주요국의 수출과 산업생산도 둔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대미 철강, 자동차부품 수출을 중심으로 영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며 "특히 자동차 수출은 미국 내 자동차 시장 환경이 악화되면서 그 영향이 점차 나타날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