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경기도 아파트 분양가가 불과 4년 만에 60% 가까이 치솟으며 '국민평형(84㎡)' 평균이 7억원을 넘어섰다. 내 집 마련 부담이 커지자 합리적인 가격에 미래가치까지 갖춘 '분양가 상한제' 단지로 청약자들이 대거 몰리는 분위기다.
26일 부동산R114(렙스)에 따르면 올해(5월 12일 기준) 경기도 아파트(임대 제외) 평균 분양가는 3.3㎡당 219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4년 전인 2021년 1388만원보다 58.21% 높아진 금액이다. 이를 국평으로 환산해보면 약 4억7200만원에서 7억4700만원으로 4년 사이 3억원 가까이 상승한 셈이다.
연도별로는 3.3㎡당 △2021년 1388만원 △2022년 1575만원 △2023년 1867만원 △2024년 1981만원 등으로 해마다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올해 구리시 분양가가 가장 높았다. 구리시 3.3㎡당 평균 분양가는 3334만원이었고, 수원시 3117만원, 성남시 2537만원, 고양시 2302만원 등 모두 평균을 상회했다.
하남은 올해 분양가가 3.3㎡당 2200만원 수준으로 3기 신도시 하남 교산지구에 공급된 '하남 교산 푸르지오'가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 받으면서 2021년(2001만원)보다 10% 밖에 증가하지 않았다. 부천은 올해 2119만원으로 2021년(2304만원)보다 오히려 분양가가 하락했다. 부천 대장지구에 분양가 상한제 공급이 쏟아지면서 평균 분양가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경기도 국평 평균 분양가가 7억원을 훌쩍 넘기면서 비교적 합리적인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로 수요 쏠림현상도 일어나고 있다. 하남에 분양된 '하남 교산 푸르지오'는 일반공급 청약에 5만2920명이 몰리며 평균 263.2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의왕에 공급된 '제일풍경채 의왕 고천'도 21.58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부동산 전문가는 "경기도 아파트 분양가가 해마다 1억원 가까이 상승하면서 수요자 부담도 함께 가중되고 있다"며 "과거 분양가가 조금 비싸도 미래가치만 있으면 청약했던 시기와 다르게 저렴한 분양가를 갖춰 확실한 가치투자가 가능한 단지로 쏠림현상도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 서초, 2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서울 아파트값 '고공행진'
- 재건축 기대감에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확대
- 부동산 플랫폼 다방, 창립 12주년···누적매물 등록수 5057만여건
- 청약 미달 속출하는 지방···대출 규제 완화에도 역부족
- 서울 분양물량 80% 이상 정비사업, 지연 속출에 '공급난'
- 지역 소멸 우려에도···양산·아산·천안, 인구 증가 왜?
- 강남이 강북보다 3.3㎡당 2천만원 비싸···가격차 역대 최대
- 서울 원룸 평균 월세 68만원···전월比 2.2%↓
- '줍줍' 무순위 청약, 오늘부터 무주택자만 신청 가능
- 서울 공급 감소에 경기권 수요 쏠림···김포 등 인접지 주목
- 3기 신도시 '남양주왕숙'서 1030가구 첫 본청약
- 분양물량 전년比 64%에 불과···새 아파트 더 귀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