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박충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11일 "실물경제 어려움에 따른 취약부문 부실화, 금리인하 현실화에 따른 은행 수익성 저하 가능성에 대응해 자본비율 및 여신취급·관리 현황을 중점적으로 지도·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부원장보는 이날 오후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2025년도 은행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설명회에는 은행·은행지주회사 임직원 및 은행연합회 관계자가 참석했다.
박 부원장보는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은행 경영 환경이 어려워지는 상황이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감독당국과 은행권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계부채 등 자산·상품 쏠림에 따른 리스크 감독 강화와 함께 무역분쟁, 환율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선제적 외화유동성 대응 능력을 제고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내부통제의 질적 제고를 위해 책무구조도, 내부통제 혁신방안 안착을 지도하고 미흡사항은 엄정 대응하겠다"면서 "준법제보 및 이사회·경영진과의 소통 활성화를 통해 은행의 건전한 조직문화 조성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불완전판매의 근본 원인인 밀어내기식 영업행태 근절을 위해 성과체계 등 영업행위 전 단계를 집중 점검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박 부원장보는 또 "은행의 자금중개 및 사회적 책임 역할이 중요한 시기"라며 "생산적 부문으로의 자금공급 활성화, 취약계층에 대한 금융 지원 확대를 지속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신기술 확산 및 디지털 전환 등 산업환경이 급속히 변화하는 가운데 은행 산업이 혁신과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감독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진 은행권 CRO 간담회에서는 위기상황 대비 손실흡수능력 관리 방향을 설명하고, 운영리스크 관리 강화방안 및 스트레스완충자본 제도 도입 계획에 대해 안내했다.
검사현안 간담회에서는 여신프로세스 개선 방안, 준법제보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하는 한편, 올해 검사방향을 공유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