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10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이세훈 수석부위원장과 면담을 마친 이후 기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박조아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10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감독원에 방문해 이세훈 수석부원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이후 기자들과 만나 금융감독원이 삼부토건의 주가조작 사태와 관련해 조사할 의지가 없다고 비판하며, 검찰이 강제수사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강준현 의원은 "제가 볼 때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삼부토건과 관련해) 조사 의지가 없다"며 "어쨌든 사건을 조사하는 진행 과정이 미흡하거나 할 때는 정무위 차원에서 강경하게 대응하겠다고 의사 결정을 했다"고 밝혔다.

김용만 의원도 "(금감원은) 사법기관과 협력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도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며 "작년 중순부터 시작됐다고는 하지만 그렇다할만한 성과가 나온 게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에 우리가 느낀 건 내사 수준인지 아닌지도 모를 정도"라며 "오늘 방문을 통해 금감원이 적극적으로 수사를 하려고 한다는 느낌도 못 받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삼부토건은 지난 2023년 5월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글로벌 재건 포럼에 참석한 뒤 우크라이나 재건주로 분류됐다. 이에 따라 1000원대였던 주가가 같은 해 7월 장중 5500원까지 급등했다. 이후 급등 시기가 윤석열 대통령 부부가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젤렌스키 대통령 부부와 재건사업을 논의했던 시기와 겹친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금감원은 조성옥 전 삼부토건 회장과 가족들, 최대주주, 관련 법인 등 10개 안팎의 계좌에서 지난 2023년 5월 이후 수백억 원어치의 삼부토건 주식을 팔아치운 사실을 파악하고 조사 중이다. 의원들은 이날 금감원과 면담을 통해 삼부토건 관련 이상거래 계좌 10여개를 살펴본 결과 관련자들이 110억원 규모의 시세차익을 얻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민병덕 의원은 "거래소에서 이상 거래 심리를 통해 이상 거래가 있었다고 보고 있고, 그렇다면 그 이상 거래가 누가 매집을 했고 팔았는지, 주가조작으로서의 위법성이 있는지 없는지가 중요하다"며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해외 컨퍼런스에 초청 받지 않은 삼부토건을 왜 데리고 갔는지 수사를 진행해야 하지만, 금감원은 강제수사권이 없다는 이유로 조사를 진행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강제수사권이 있는 금융위원회나 검찰에 넘기기 위해서는 증거 확보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증거확보에 어려움이 있어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실토하고 있다"며 "조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말로 시간을 끌려는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이강일 의원은 "금감원의 주장은 그동안 금융위와 검찰과 정보교류를 해 왔다는 건데, 그렇다면 강제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면 검찰도 조사에 착수할 수 있다"며 "강제수사가 필요한 시기에 이렇게 떠넘기기만 한다면 피해는 고스란히 피해자들에게 향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나중에 피해 구제를 받기 위해서라도 재산 동결 등을 해야 하는데, 이건 검찰이 할 수 밖에 없다"며 "검찰은 빠르게 (강제수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