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 신한은행 블루캠퍼스에서 열린 '2025년 신한경영포럼'에서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왼쪽)과 초청연사 김진식 정암학당 연구원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신한금융)
경기도 용인 신한은행 블루캠퍼스에서 열린 '2025년 신한경영포럼'에서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왼쪽)과 초청연사 김진식 정암학당 연구원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신한금융)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리더의 진정한 영향력은 존경에서 비롯되며 존경 받기 위해서는 과정이 정당해야 하고, 남들이 귀 기울일 만한 가치 있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밝혔다.

12일 신한금융그룹에 따르면 진 회장은 지난 9일부터 1박2일간 경기도 용인 신한은행 블루캠퍼스에서 열린 '2025년 신한경영포럼'에서 타운홀 미팅을 진행하며 이같이 말했다. 

포럼에는 그룹사 최고경영자(CEO) 및 임원, 본부장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그룹 신년 경영 슬로건인 '고객중심 일류(一流)신한 후마니타스(Humanitas), 커뮤니타스(Communitas)'를 중심으로, '리더가 갖춰야 할 훌륭함'과 '정직한 신한'에 대한 강연 및 토론이 진행됐다.

진 회장은 "목표는 무엇(what)을 해야 하는지를 나타내고, 목적은 왜(why) 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며 "구성원 모두가 목적에 대해 공감해 간다면 일류신한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영포럼에선 고대 로마 철학자 키케로의 '의무론'을 번역한 김진식 정암학당 연구원이 연사로 나서기도 했다. 의무론에 따르면 사회 구성원은 스스로의 의무에 충실하며 '훌륭함'을 추구하고 개인의 이익 추구에 앞서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두 달 전부터 의무론을 숙독하며 포럼을 준비해 온 참석자들은 훌륭한 리더의 덕목과 실천 방안에 대한 토론에 참여했다.

이튿날 주제 도서는 글로벌 경영컨설턴트 론 카루치의 '정직한 조직'으로, 저자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조직 내에 정직한 문화가 뿌리 내려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포럼 참석자들은 정직한 조직의 3가지 조건인 △목적 △진실 △정의에 대한 외부강연을 자유롭게 선택해 청취한 데 이어 이러한 문화를 그룹에 정착시키기 위한 팀별 제안서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이번 경영포럼은 재무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오던 기존 포럼과 달리, 1등보다 일류를 지향한다는 그룹의 추구 가치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와 리더들의 다짐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시간이었다"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