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내년도 금융위원회 세출예산이 3조4000억원, 소관 기금 지출계획이 26조8000억원으로 확정됐다.
금융위원회는 국회 본회의 의결로 내년 예산이 확정됨에 따라 뉴딜펀드 조성과 핀테크 지원 강화, 서민금융 안정망 강화, 금융산업 글로벌화 지원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먼저,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하기 위해 내년 중 4조원 규모의 정책형 뉴딜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산업은행 출자 6000억원이 포함된다. 재정·정책자금을 마중물로 대규모 민간자금을 유인해 미래 성장동력인 디지털·그린분야 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핀테크 기업이 우리나라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디지털 금융혁신 지원, 핀테크 기업 육성 및 인력 양성 등에 146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서민금융 안전망 강화를 위해 청년희망적금에 서민금융진흥원이 475억5000만원을 출연한다.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600만원 이하인 청년(만 19∼34세)의 저축을 장려하고 안정적인 자산 관리 형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월 최대 50만원까지 납입 가능한 2년만기 적금으로 시중이자에 더해 납입액의 2~4%를 저축장려금으로 추가 지급한다.
보금자리론 등 저리의 장기·고정금리 대출인 정책모기지를 내년에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주택금융공사에 500억원을 출자한다.
농어민의 재산 형성 지원 및 안정된 생활 기반 조성을 위해 저축장려금도 266억2000만원 지급한다.
고금리, 불법추심 등 불법 사금융 피해자 구제를 위해 무료 채무자 대리인 선임, 소송 대리 등의 법률적 지원 확대에 11억4000만원이 사용된다. 기존 6억원에서 5억원 가량 증액됐다.
금융위는 "생산적 금융 지원과 금융산업 혁신 등 금융의 발전과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확정된 예산을 충실히 집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고승범 "과감한 재정·금융정책으로 금융시스템 빠르게 회복"
- 정부, 교육·고용 등 '청년정책' 개선···금융위 420억 창업펀드 조성
- "내일부터 핸드폰으로 은행 지점·ATM 운영정보 확인하세요"
- 금융당국 "수분양자 어려움 없게 12월까지 9.3조 잔금대출"
- 고승범 "금융사-핀테크, 협업시 부수업무 제한 규제 완화"
- 핀테크 간담회에서 발언하는 고승범 금융위원장
- 산업은행, '데이터담보대출' 출시 1년만 1000억원 돌파
- 산업은행 부행장 '세대교체'···65~67년생 5명 선임
- 금융위, 올해 정책형 뉴딜펀드 4조 조성···투자비율 40% 목표
- 연 9% '청년희망적금' 나온다···9일부터 대상자 확인
- '연 10%대' 청년적금 신청자 폭주에···가입 사각지대 우려↑
- [단독] KDB산업은행서도 사라진 '뉴딜'···文정부 흔적 지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