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유플러스는 서울로보틱스와 함께 '지능형 인프라 라이다 인식기술' 실증에 돌입한다고 21일 밝혔다.
지능형 인프라 라이다 인식기술은 주로 자율주행차량에 탑재되는 라이다 센서를 교차로 등 도로 인프라에 구축해 차량·이륜차·보행자 등 도로 위 객체들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기술이다. 현재 교통상황을 살피기 위해 다수가 설치되어야 하는 CCTV와는 달리 센서 1대만으로도 24시간 내내 도로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와는 달리 형상만 인식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도 없다.
서울로보틱스는 라이다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원천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이다. 반경 100m 안의 객체를 4cm의 오차내로 감지하는 독보적인 라이다 데이터 분석 기술력을 가졌다.
두 회사는 이달부터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LG유플러스 사옥 앞 교차로에 라이다를 설치하고 기술실증에 돌입한다. LG유플러스는 이 실증사업에서 얻어진 데이터와 노하우를 확보한 뒤 5G 통신 기반으로 클라우드 및 MEC(Multi-access Edge Computing)에 라이다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탑재할 예정이다.
앞서 에이스랩과 함께 2019년 세계 최초 5G 자율주행 실증, 2020년 5G 자율주차 실증에 성공한 바 있는 LG유플러스는 앞으로 지능형 인프라 라이다 인식기술을 통해 차별화된 C-ITS 역량을 갖출 예정이다.
주영준 LG유플러스 차세대기술랩장는 "라이다는 교통정보 수집에 높은 성능을 발휘함은 물론 개인정보침해 우려도 불식시킬 수 있는 중요한 교통인프라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내 최대규모인 강릉 ITS 기반구축사업에 이어 다가올 C-ITS 사업 전개과정에서도 차별화된 기술력을 선보일 수 있도록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 LG유플러스, 수험생 응원 프로모션 진행
- LGU+, 2021년 3대 SNS 시상식 '대상' 석권
- LGU+, 국내 최초 클라우드 백본 장비 실증 완료
- [지스타 2021] 관람객 맞이 준비하는 벡스코
- LGU+, LS그룹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 LGU+, 소상공인∙결식아동 돕는 '황금도시락' 캠페인
- LGU+, VR로 혼자 연습하는 'U+VR모의면접' 출시
- LGU+, 디지털 트윈 활용 통합플랫폼 사업 추진
- 디즈니+, 韓 상륙···OTT 격돌에 통신사도 '불꽃경쟁'
- [위투게더] LGU+, 협력사와 '사랑의 꾸러미' 나눔 활동 전개
- LGU+, 세종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완공
- LGU+, 임원 인사···전무 승진 2명·상무 7명 신규 선임
- LGU+, 조직개편 단행···'디지털커머스사업' 그룹 신설
- LGU+, 인공지능 원격관리 '스마트 양계장' 만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