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유플러스는 국립축산원 가금연구소, 전북대학교와 함께 육계·산란계의 정밀모니터링·지능형사양관리 기술을 실증하는 사업에 돌입한다고 28일 밝혔다.
국내 양계농가는 가구당 육계 5만6000수, 산란계 7만8000수를 사육하고 있지만 농가인구 고령화와 인력부족으로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LG유플러스는 기존 계사의 환경을 개선하고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밀 사양관리' 기술을 개발했다.
정밀 사양관리는 육계·산란계를 실시간 정밀 모니터링하고, 여기서 수집한 데이터를 '스마트 양계 통합관제시스템'에서 분석하는 기술이다. 우선 계사 내에 각종 센서와 통신, CCTV를 설치해 병아리와 닭의 생육환경에 맞는 온도·습도·암모니아(NH3)·이산화탄소(CO2) 등 공기질을 모니터링한다.
센서가 보내온 데이터를 인공지능(AI)이 판단해 냉난방장치와 환풍구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료와 물 공급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계사 내 상황을 실시간 영상으로 전문가에게 전달해 원격지원을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정밀 사양관리를 위해 유럽 등 해외에서는 영상·소리·센싱기술을 이용하는 다양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4월 농림축산식품부의 '스마트팜 혁신기술 개발사업' 중 '가금류 정밀모니터링 및 지능형 사양관리' 과제를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전북대학교, 엠코피아와 컨소시엄을 맺어 수주했으며, 국내에도 정밀 사양관리 기술을 보급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정밀 사양관리 기술 외에도 육계 체중 및 증체량 예측 기술, 실시간 산란계 폐사체 및 과산계 선별 기술 등을 개발하고 실증할 계획이다.
강종오 LG유플러스 스마트시티사업담당(상무)은 "육계, 산란계 정밀 사양관리 기술은 계사 농가의 일손부족을 해소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농가 수익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 축사·돈사 등으로도 확대해 국내 스마트팜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원스토어,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 제출
- LGU+, 조직개편 단행···'디지털커머스사업' 그룹 신설
- 유영상 SKT 대표 "내년 경영 키워드는 '고객·서비스·기술'"
- 10배 빠른 지하철 와이파이 도입···농어촌 5G 공동이용망도 개시
- LGU+, 임원 인사···전무 승진 2명·상무 7명 신규 선임
- LGU+, 세종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완공
- [위투게더] LGU+, 협력사와 '사랑의 꾸러미' 나눔 활동 전개
- LGU+, 라이다 센서로 교차로 교통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 LGU+ "디즈니+ 체험존 방문하고 난치병 환아에 마음 나눠요"
- LGU+-호두랩스, 양방향 화상 서비스 사업 제휴
- U+5G 스마트항만, 5G MEC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 수상
- LGU+, KCGS '지배구조 우수기업' 선정
- LGU+, 전국 2100개 매장에 디즈니+ 체험존 연다
- LGU+, 법무부·대한적십자사와 아프간 특별기여자 돕는다
- LGU+, '기가 와이파이6' 공유기 3종 업그레이드
- LGU+, 5G 기반 무인특장차 자율주행 기술 협력
- [이벤트] LGU+, 취준생 위한 토익학습 무료 이용권 증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