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유플러스는 'U+5G 스마트항만'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하는 'MEC 기반 5G+ 성과공유회'에서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1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2019년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이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전담하는 '5G 융합서비스 발굴 및 공공선도 적용' 사업을 통해 5G와 MEC를 기반으로 안전성과 생산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U+5G 스마트항만 솔루션을 만들어왔다.
특히 '5G 원격제어 크레인'을 비롯한 다양한 항만 자동화 솔루션을 부산항 신선대부두, 여수광양항 서부컨테이너 터미널 등 국내 항만에 성공리에 적용했고, 이 같은 성과가 수상으로 이어졌다.
U+5G 스마트항만 솔루션은 5G를 이용해 항만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야드크레인 원격제어, 물류창고 자동화 지원 등으로 구성된다.
5G 원격제어 크레인은 항만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한다. 지금까지는 컨테이너를 옮기기 위해 작업자가 25m 상공에서 아래를 바라보며 장시간 조종해야 했다. 한 명의 작업자가 한 대의 크레인만을 제어할 수 있고 조종석의 시야각 제한으로 컨테이너를 3단까지만 쌓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5G 크레인 원격제어를 이용하면 작업장에서 떨어진 안전한 사무실에서 작업자가 크레인을 조종할 수 있어 작업환경이 크게 좋아지고, 컨테이너를 미리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테이너를 4단 이상 적재하는 등 생산성이 40% 이상 높아지게 된다.
이외에도 컨테이너의 진동을 분석해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는 크레인 예지보전 솔루션과 항만에서 운영하는 물류장비인 리치스태커와 야드트랙터의 충돌을 방지하는 솔루션도 이번 과제에 같이 적용된다.
이와 함께 LG유플러스는 부산신항 배후단지 비아이디씨 물류창고에도 3방향 무인지게차와 무인운반차(AGV)를 적용하는 자동화 물류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이번 행사는 5G B2B(기업 간 거래) 서비스의 필수 인프라인 MEC(Multi-access Edge Computing)를 산업현장에서 활용하는 국내외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5G MEC 기반 ICT 융합서비스의 민간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재용 LG유플러스 스마트팩토리사업담당(상무)은 "국내 항만작업장을 안전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U+5G 기반의 항만 솔루션을 이번 수상을 계기로 더욱 발전시켜 '5G 스마트인프라' 시장에서 제일가는 통신사업자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가겠다"고 말했다.
- LGU+-호두랩스, 양방향 화상 서비스 사업 제휴
- LGU+ "디즈니+ 체험존 방문하고 난치병 환아에 마음 나눠요"
- LGU+, 인공지능 원격관리 '스마트 양계장' 만든다
- 원스토어,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 제출
- LGU+, 조직개편 단행···'디지털커머스사업' 그룹 신설
- 유영상 SKT 대표 "내년 경영 키워드는 '고객·서비스·기술'"
- 10배 빠른 지하철 와이파이 도입···농어촌 5G 공동이용망도 개시
- LGU+, 임원 인사···전무 승진 2명·상무 7명 신규 선임
- LGU+, 세종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완공
- LGU+, KCGS '지배구조 우수기업' 선정
- 과기정통부, 내년 예산 18조6천억···기초·첨단기술 7조5천억 투입
- LGU+, 전국 2100개 매장에 디즈니+ 체험존 연다
- LGU+, 법무부·대한적십자사와 아프간 특별기여자 돕는다
- LGU+, '기가 와이파이6' 공유기 3종 업그레이드
- LGU+, 5G 기반 무인특장차 자율주행 기술 협력
- [이벤트] LGU+, 취준생 위한 토익학습 무료 이용권 증정
- LGU+ 홍보대사 '홀맨', 올해 누적 기부금 1억원 돌파
- U+아이들나라, 디즈니 영어교육 콘텐츠 '디즈니 러닝' 출시
- '오미크론 변수' CES 반쪽행사 우려···韓 기업들 주목받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