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우승민 기자] 카드업계가 간편결제 시장에서 빅테크와의 경쟁을 위해 공동으로 추진 중 '오픈페이'가 참여사 저조 등으로 출범 전부터 난관에 봉착하고 있다.
카드사들은 연합전선 구축을 통해 빅테크에 맞불을 놓으려 했지만, 실효성 등의 문제로 오픈페이 참여도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9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카드와 국민카드는 올해 연말까지 연동결제 서비스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해당 서비스는 각사의 자체 플랫폼에서도 타사 결제를 지원하는 오픈페이 서비스다.
이는 빅테크가 주도하는 간편결제 '페이' 시장에서 카드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이들은 연내 앱카드 연동 API(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 개발 작업을 마무리하고 이르면 올해 말부터 앱카드 연동 서비스를 개시하기로 합의했다.
상호 연동을 위한 API 구축이 완료되면 각 카드사는 동일한 앱 표준 아래에서 자사 앱에 다른 카드를 탑재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KB국민카드 앱에서 신한카드를 연결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문제는 시스템을 구축하더라도 전체 카드사가 참여할지 여부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실제로 하나카드는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고, 우리카드도 11월말까지 참여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반면 이들 4개사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사들은 참여 여부를 유보한 상태로 알려졌다.
오픈페이 실효성 역시 참여를 주저하는 이유다.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 사용을 위해 QR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앱을 구동하는 것처럼 공동페이 사용을 위해 해당 절차가 필요한데, 과연 이런 번거로움을 소비자들이 감내할지 여부다. 더구나 기존 서비스와 차별화가 없을 경우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을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가 내놓은 제로페이 역시 이런 문제들로부터 아직 자유롭지 못하다.
업계 관계자는 "제로페이 또한 신용카드 결제나 기존 앱 결제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실효성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실효성 있는 유인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경쟁이 치열한 카드업계 간 이해관계도 오픈페이 참여를 가로막는 요인이다. 시장점유율(MS)이 높은 카드사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반면 MS가 낮은 소형 카드사의 경우 오히려 고객을 빼앗길 수도 있어서다.
업계 또다른 관계자는 "카드사들이 공동 페이를 만드는 것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적극 참여할지에 대해선 부정적"이라며 "MS가 높은 회사에 뺏길 확률이 높은 것 또한 눈치를 봐야하기 때문에 공동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 카드사, 신용·체크카드 캐시백 시행···"우대가맹점 대상으로 실익 제한적"
- 재점화된 '카드수수료 갈등'···카드노조 "적격비용 재산정 폐지"
- 카드업계 "전금법, 빅테크에 '규제차익' 제공"···'준 카드사' 반발
- 판 커지는 '대안신용평가' 시장···카드업계도 '미래 먹거리' 낙점
- '위드 코로나' 선제대응 나선 카드업계···"역대급 호텔 할인 서비스"
- KB국민카드, 해외 진출 3국 아동·청소년에 재능기부 물품 전달
- "보험서비스로 이동했습니다" 보험 핀테크는 혼선 중
- [이벤트] 하나카드 '사이판 켄싱턴 호텔·여행경비 페이백'
- 신한카드·은행, 10대용 충전 페이서비스 '신한 밈' 출시
- 금융지주 계열 카드사, 3분기 호실적···수수료 인하?
- 국민카드, 금융회사 지배구조 평가 2년 연속 'A+' 등급
- 하늘길 열리는 '위드 코로나'···하나카드, 해외여행 할인 풍성
- 하나카드, 원큐페이 단계적 개편···'생활금융플랫폼' 전환
- 신한은행, 영업점에 '서울페이' 전담창구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