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최근 정부의 이동통신 3사 5G 서비스 품질 중간평가 결과 LG유플러스의 전송속도가 가장 느린 것으로 발표된 가운데, 올해 5G 기지국 투자 역시 LG유플러스가 가장 저조한 것으로 확인됐다.
LG유플러스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알려진 화웨이 장비를 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지국 확대 등 5G 투자에는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조승래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유성구갑)이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통신사별 무선국 현황 자료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2021년 들어 8개월 동안 4329개의 5G 무선국을 설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LG유플러스는 5G 도입 이후 지난해 말까지 총 4만9684개의 5G 무선국을 설치해 이통3사 중 가장 앞선 바 있다. 하지만 올해 저조한 투자로 8월 말 기준 5G 무선국 수는 이통3사 중 가장 적은 5만4013개에 그쳤다.
같은 기간 SK텔레콤은 1만8583개, KT는 1만2091개의 5G 무선국을 추가로 설치했다. 그 결과 SK텔레콤이 6만2959개로 가장 많은 5G 무선국을 확보했고, KT가 5만8605개로 뒤를 이었다.
조승래 의원은 "지난해 이통3사가 약속했던 중소 유통사 상생, 네트워크 장비 조기 투자 등을 위한 7000억원의 지원 약속이 과징금을 줄이기 위한 공수표가 아니었기를 바란다"며 "5G 전국망 구축과 품질 개선을 향한 국민의 기대에 이통사는 더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으로 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LG유플러스 측은 "8월 말 기준 LG유플러스가 정부의 5G 무선국 허가를 받아 구축을 완료한 기지국 수는 7만1700여개"라며 "자료에서 언급된 올해 구축한 기지국 수 '5만4013개'는 준공완료기준이며, 집계 기준과 시점에 따른 차이로 준공신고 등 행정절차가 완료되면 LG유플러스의 기지국 수는 자연스럽게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한 LG유플러스의 올해 상반기 설비투자액(CAPEX)는 8633억원으로 경쟁사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 [신상품] LG유플러스 홈 이동형 IPTV 'U+tv 프리3'
- 무선 보이스피싱 4년간 26배 증가
- LGU+, 주차장 운영 1위 사업자와 모빌리티 사업 협력
- LGU+, '디즈니+' 손잡고 미디어 경쟁력 강화 나선다
- 이통3사, '아이폰13' 사전 마케팅 경쟁···인기모델은 '프로'
- LGU+, IDC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 "개통만 했는데 상품 훼손?"···휴대전화 개통철회권 '유명무실'
- LGU+,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진행
- KT, 업무용 전기차 디자인 변경···"디지코 정체성 강조"
- SKT-GE헬스케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공략 '맞손'
- KT엔지니어링-에코피스, 친환경 융복합 에너지 시장 공략
- KT, 기업메시지 서비스 '스마트메시지' 출시
- SKT, 도쿄 게임쇼 참가···퍼블리싱 게임 4종 공개
- LGU+, 한국벤처투자와 'K-유니콘' 발굴한다
- LGU+ 솔루션,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업무 플랫폼에 입점
- KT, '갤럭시워치 4 골프에디션' 사전판매
- 229개 지자체 중 5G 기지국 10개 미만 19곳
- 임혜숙 과기부 장관 "플랫폼 규제 대상으로만 봐선 안돼"
- "이통3사, '온라인요금제' 효과 미미···가입자 0.1% 불과"
- 현대미디어, '미디어지니'로 사명 변경···대표이사에 윤용필 사장 선임
- KT, 예비 부부 전용 상품 '신혼 미리 결합' 출시
- 윤영찬 "28㎓ 5G 기지국 161대 불과···의무 구축 이행률 0.3%"
- 임혜숙 과기부 장관 "플랫폼 건전 성장 위해 균형 발전 유도"
- SKT '이니셜' 앱, SKB 고객센터에 적용···서류 제출 간소화
- KT, 웹케시와 '클라우드 경리나라' 출시
- LGU+-동국대, IoT로 안전한 지역사회·캠퍼스 만든다
- SKT, '통신정음' 발간···고객언어혁신 2.0 캠페인 펼친다
- LGU+-에이스랩, '2021 그린뉴딜엑스포'서 5G 자율주행 기술 선봬
- SKT "AI 플랫폼 '누구' 월 사용자 1천만명 달성"
- LGU+, 스마트 친환경버스에 5G 메타버스 콘텐츠 띄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