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유플러스는 애니랙티브와 함께 친환경 버스에서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반 5G 증강현실(AR)·메타버스 플랫폼(ARAD) 사업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ARAD는 AR 기술로 버스, 트램, 택시 등 이동중인 차량에서 승객이 교통정보 및 광고를 보는 플랫폼이다. 옥외광고판 등 기존 광고매체와는 달리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크기나 종류,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스마트폰이나 AR글래스 등 별도의 디바이스가 없어도 콘텐츠를 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두 회사는 우선 경남 창원시 친환경 수소·전기 버스 창문에 55인치 '투명 OLED'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버스 승객에게 교통정보와 AR 광고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실증사업을 진행한다. 또한 고정밀위치측위(RTK)와 연계된 AR·메타버스 플랫폼의 특허를 공동 취득하는 데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초 창원시와 스마트 수소산업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스마트 수소버스에 5G 기술과 연동된 투사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교통 운영 정보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을 실증한 바 있다. 이번 애니랙티브와의 협력을 통해 LG유플러스는 올해 말까지 5G 기반 AR기술과 메타버스 개념이 접목된 플랫폼을 확보하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운영가능한 스마트시티 모델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강종오 LG유플러스 스마트시티사업담당(상무)은 "증강현실 기반의 교통, 광고 등의 콘텐츠를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시내버스에 적용한 이번 사례를 기반으로 국내 스마트시티에 AR·메타버스 연관 서비스를 확대하는 사업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임성현 애니랙티브 대표이사는 "지금까지 온라인에서만 체험하던 메타버스를 모빌리티 내 투명 OLED와 AR인포테인먼트 기술을 통해 현실에서 제공하고, ARAD를 지역 경제와 연결하여 메타버스의 메인 AR포탈로써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애니랙티브는 모빌리티 인터랙티브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 디스플레이와 인터랙션 기술을 통합 적용하여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공급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한 '2021 위치정보 우수 비즈니스 모델 발굴 프로젝트-위치기반 서비스 공모전'에서 모빌리티 기반의 ARAD로 최우수상(한국인터넷진흥원장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LGU+-에이스랩, '2021 그린뉴딜엑스포'서 5G 자율주행 기술 선봬
- LGU+-동국대, IoT로 안전한 지역사회·캠퍼스 만든다
- LG전자, '이노베이션 카운실' 확대···"글로벌 미래 기술 트렌드 이끈다"
- 구광모 "목적과 지향점부터 고객 가치에서 출발해야"
- "이통3사, '온라인요금제' 효과 미미···가입자 0.1% 불과"
- LG CNS, 마이데이터 플랫폼 사업 본격 시동
- LGU+ 솔루션,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업무 플랫폼에 입점
- LGU+, 한국벤처투자와 'K-유니콘' 발굴한다
- 조승래 의원 "올해 5G 기지국 투자 LGU+ 가장 저조"
- LGU+, 유심 속 '반도체 지문'으로 메타버스 보안 강화
- LG전자, 新성과급 제도 내년 적용···사업부별 격차 줄여
- LGU+, SM엔터테인먼트와 언택트 'XR 쇼' 연다
- LGU+, 부여 정림사지서 5G 28㎓ 실감형 서비스 공개
- 이통3사, 3분기에도 5G 효과 지속···영업이익 1조 예상
- LGU+-키자니아, 아이들 전용 메타버스 구축 나선다
- LGU+, '제11회 대한민국 SNS대상' 기업부문 종합대상 수상
- LGU+, 함부르크 ITS 세계총회 '명예의 전당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