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유플러스는 ICTK 홀딩스와 함께 '물리적 복제 방지기능(PUF)' 기반 유심(USIM)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고 8일 밝혔다.
PUF는 제조 공정에서 만들어진 반도체의 미세구조 차이를 이용해 복제나 변경이 불가능한 'Inborn ID', 일명 '반도체 지문'을 이용해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이다. 반도체 지문을 통해 암호키를 안전하게 생성하고, USB 등에 저장한 뒤 사용하는 소유기반 검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PUF USIM을 스마트폰에 장착하면 금융, 디지털 자산관리 등 다양한 분야 서비스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PUF USIM을 디지털 자산을 실제 자산과 연동하는데 사용할 경우 대체불가토큰(NFT)과 메타버스 공간에서 자산을 거래하는 '디지털지갑'을 스마트폰에서 이용 가능하다. PUF USIM 기반의 디지털지갑에 신분증, 출입카드, 자동차 키, 공연티켓 등을 저장하면 실물을 보유하지 않아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양자내성암호(PQC) 기술을 PUF에 결합한 'Q-PUF USB' 보안토큰을 디지털뉴딜 사업에 투입한 바 있는 LG유플러스는 다양한 산업분야의 파트너사들과 함께 PUF 활용 서비스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이진혁 LG유플러스 미디어서비스개발담당은 "다가올 메타버스 시대에 나를 대신할 수 있는 Inborn ID 와 보안 기술이 가능해졌다"며 "고객이 안심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엔드투엔드(End-to-End) 보안체계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 LGU+, 스마트 친환경버스에 5G 메타버스 콘텐츠 띄운다
- LGU+-에이스랩, '2021 그린뉴딜엑스포'서 5G 자율주행 기술 선봬
- LGU+-동국대, IoT로 안전한 지역사회·캠퍼스 만든다
- LG전자, '이노베이션 카운실' 확대···"글로벌 미래 기술 트렌드 이끈다"
- 구광모 "목적과 지향점부터 고객 가치에서 출발해야"
- "이통3사, '온라인요금제' 효과 미미···가입자 0.1% 불과"
- LG CNS, 마이데이터 플랫폼 사업 본격 시동
- LGU+, 한국벤처투자와 'K-유니콘' 발굴한다
- LG전자, 新성과급 제도 내년 적용···사업부별 격차 줄여
- LGU+, SM엔터테인먼트와 언택트 'XR 쇼' 연다
- LGU+, 부여 정림사지서 5G 28㎓ 실감형 서비스 공개
- 이통3사, 3분기에도 5G 효과 지속···영업이익 1조 예상
- LGU+-키자니아, 아이들 전용 메타버스 구축 나선다
- LGU+, '제11회 대한민국 SNS대상' 기업부문 종합대상 수상
- LGU+, 함부르크 ITS 세계총회 '명예의 전당상' 수상
- LGU+, 프리미엄 도서 브랜드 '키즈 스콜레' 독점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