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SKT), 서울신용보증재단, KB국민카드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보유 데이터 교류 및 공동연구와 관련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빅데이터 협력은 SKT의 이동통신 정보 기반의 '유동인구' 데이터, KB국민카드의 소상공인 '가맹점' 데이터, 서울신용보증재단의 '상권활성화지수' 등 상권 분석에 핵심적인 데이터들을 융합해 고도화 하는 것이 핵심이다.
3사는 지역별 상권에 대한 유동인구, 점포 정보 등 융합된 데이터를 활용해 서울시 등 공공기관들이 지역별 특성에 맞는 소상공인 지원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3사의 융합 데이터는 소상공인들에게 상권, 점포 등 중요한 입지 정보를 컨설팅해주는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핵심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3사는 향후 융합 데이터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SKT 유동인구 데이터는 소상공인이 창업 시 입지 선택 등의 의사결정에 주요하게 활용될 뿐만 아니라 지역별 유동인구의 변화 정도를 파악해 상권의 경제활동 상황을 분석할 때도 유용하게 활용된다.
3사는 이번 협약을 민간·공공 기관이 협력해 소상공인의 경영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모범 사례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한종관 서울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은 "급변하는 팬데믹 상황속에서 정합성 높은 상권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소상공인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 이번 협약의 목적"이라며 "앞으로도 민관의 경계를 벗어나 상호 교류를 확대해 수준 높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장홍성 SKT 광고데이터 CO(컴퍼니)장은 "어려운 환경에 처한 소상공인들의 사업 운영에 3사 융합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분석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SKT는 빅데이터를 보유한 공공기관,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해 ESG 경영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SKT '누구 케어콜', 300만 콜 돌파···"AI 방역도우미 역할 톡톡"
- SKT, 'T다이렉트숍' 고객 대상 추가 혜택 프로모션 진행
- SKT, 고려대와 스마트 캠퍼스 구축 '맞손'
- SKT, 'AI 커리큘럼' 희망 대학교에 제공
- SKT,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 공개
- SKT-성신콤프레샤-솔텍시스템, 스마트 컴프레셔 구축 위한 업무협약 체결
- SK, '이천 서브포럼' 진행···"ESG 중심 의제, 딥체인지 방안 모색"
- KB국민카드, 종로구와 저탄소 생활 실천 위해 '맞손'
- SKT, 독립운동 기리는 'V 컬러링' 콘텐츠 5편 제공
- SKT '미더스', URL 링크 초대기능 신설로 확장성↑
- SKT, 메타버스 인플루언서 '이프렌즈' 모집
- SKT, 2분기 영업익 3966억원 '10.9%↑'···"통신·신사업 고른 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