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한국예탁결제원(예탁원)은 28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비시장성자산 투자지원 플랫폼' 오픈 기념식을 개최했다. 예탁원은 정책당국의 사모펀드 제도개선 지원을 위해 이같은 서비스를 개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해당 플랫폼은 펀드 비시장성자산 표준코드 관리시스템, 비시장성자산을 편입하는 사모펀드의 종목·보관명세의 상호대사와 검증을 지원하는 펀드자산 잔고대사 지원시스템으로 구성돼 있다.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는 플랫폼에 대한 업계 참여도를 제고하기 위해 '자산대사 가이드라인' 및 '신탁업자 수탁 업무 처리 가이드라인'에 플랫폼 이용 관련 내용을 명시했다.
예탁원은 향후 금융당국의 투자자 보호장치 강화 조치와 관련해 해당 사항을 반영한 플랫폼 기능 확대 방향을 결정하고 조속히 플랫폼 구축(확대)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플랫폼 참여도 제고 및 업계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플랫폼 개시 이후 비시장성자산 운용지시 지원시스템을 내년 상반기 구축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이명호 예탁결제원 사장은 "최근 수년간 사모펀드 시장은 정부의 지속적인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양적으로 크게 성장을 이뤘지만, 고수익 비시장성자산 투자 확대로 대규모 상환·환매 연기 등으로 어려움이 발생했다"며 "이에 사모펀드 시장 투명성을 강화하고자 비시장성자산에 대해 업계 실무를 반영한 표준을 수립하고 이를 전산 플랫폼으로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 사장은 "비시장성자산 프랫폼 오픈은 사모펀드 시장에 있어 하나의 중요한 시작점과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사모펀드 시장 전반의 경쟁력 강화, 궁극적으로 사모펀드 시장의 투명성 제고와 투자자 신뢰를 다시한번 회복해 연이은 판매중단으로 시현 겪고 있는 사모펀드가 한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한국예탁결제원, 부산시 금곡고등학교에 명상숲 조성
- 주금공-예탁원, 감사 및 반부패·청렴업무 협력 강화
- 예탁원, 6월 메리츠증권 등 48개사 의무보유 해제
- 예탁원, 6월 '비시장성자산 투자지원 플랫폼' 개설
- 상반기 상장사 80곳 상호변경···전년比 45.5%↑
- 예탁원, 2021년 'K-캠프' 프로그램 실시
- 올해 상반기 의무보유 수량 16억주···전년比 10.8%↑
- 상반기 주식관련사채 권리행사비 2조···직전반기 比 10.6%↑
- 상반기 유상증자 금액 17조8765억···전년比 348.7%↑
- 한국예탁결제원, 2021년 신입사원 공개채용 2차전형 연기
- 상반기 증권결제대금 3772조원···전년比 10.8%↑
- 한국예탁결제원, 'K-Camp' 킥오프 워크숍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