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투자전문회사 SK㈜가 지난 3월 인수한 프랑스 유전자·세포 치료제(GCT, Gene·Cell Therapy) CMO 이포스케시(Yposkesi)가 본격적인 증설에 나서며, 글로벌 생산기지로 도약한다.
이포스케시는 약 5800만 유로(약 800억원)을 투자해 최첨단 시설을 갖춘 유전자·세포 치료제 제2생산공장 건설에 착수했다고 14일 밝혔다.
5000㎡ 규모의 제 2공장이 2023년 완공되면 이포스케시는 유럽 최대 수준인 1만㎡ 규모의 유전자·세포 치료제 대량생산 역량을 갖추게 된다.
신규 공장은 미국과 유럽의 선진 GMP(cGMP) 기준에 맞춰 설계되며 제1공장이 위치한 프랑스 바이오클러스터인 제노폴(Genopole)에 같이 위치하게 된다.
유전자·세포 치료제는 유전 결함으로 발병하는 희귀 질환을 1~2회 유전자 주입으로 완치하는 혁신적인 개인 맞춤형 치료제다. 고가임에도 월등한 치료 효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현재 임상 개발 중인 바이오 의약품 중 약 50%를 차지한다.
딜로이트 등은 2025년까지 연평균 25% 고성장해 항체 치료제를 능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희귀병인 척수성 근육 위축증을 치료하는 최초 유전자 치료제인 졸겐스마는 미국, 캐나다, 일본 등에 이어 최근 영국과 한국 등에서도 판매 허가를 받는 등 유전자 치료제를 승인하는 나라도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이포스케시는 유전자·세포 치료제 연구개발의 핵심이자 체내로 치료 DNA를 투여하기 위한 유전자 전달체(바이러스 벡터) 생산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독보적인 기술력에 대량 생산이 가능한 첨단 시설까지 갖추게 되면 본격적인 상업화를 통해 매출도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SK㈜는 CMO 통합법인인 SK팜테코가 보유한 글로벌 마케팅 네트워크와 대량생산·품질 관리 역량을 이포스케시와 공유해 글로벌 경영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SK㈜는 2017년 BMS(Bristol Myers Squibb)의 아일랜드 스워즈 공장, 2018년 미국 앰팩(AMPAC)을 차례로 인수한 후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CMO 통합 법인 SK팜테코를 설립하며 글로벌 CMO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해왔다.
SK㈜는 SK팜테코를 통해 이포스케시를 인수, 고성장 바이오 CMO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는 한편 2023년을 목표로 SK팜테코 상장도 추진중이다. SK팜테코는 지난해 7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글로벌 확장 전인 2016년 대비 약 7배 성장했으며, 2~3년 내 매출 1조원 달성이 예상된다.
이동훈 SK㈜ 바이오 투자센터장은 "이번 증설로 이포스케시는 급성장이 예상되는 유전자·세포 치료제의 대량생산과 상업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질을 갖추게 될 것"이라며 "이포스케시는 초기 단계 임상실험부터 상업화 후 대규모 생산에 이르기까지 신약 개발의 전(全)단계에서 최고 수준의 생산 역량을 갖추게 되며, 해외 시장 확장 등 SK팜테코와의 다양한 시너지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 SK㈜, 청록수소 생산 업체 '모놀리스'에 투자
- SK㈜, 차세대 배터리 공략 강화···'솔리드에너지'에 추가 투자
- SK㈜, 사회문제 해결 기업에 100억원 규모 '임팩트 투자'
- SK㈜, 시그넷 EV 인수···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 본격화
- SK㈜ 투자 그랩·오토노모 나스닥 상장 추진···"지분가치 상승"
- SK㈜, 유전자·세포 치료제 CMO 이포스케시 인수
- 장동현 SK㈜ 대표 "첨단소재·그린·바이오·디지털 '전문가치투자자'로 성장"
- SK㈜, 이사회에 인사·ESG위원회 신설···"대표이사 평가"
- 최태원 회장 "기업, 사회적 역할 근본적으로 고민해야"
- SK㈜, 주당 1500원 중간배당 의결
- SK㈜, '지속가능 먹거리' 대체식품 시장 공략···ESG 포트폴리오 확대
- SK, 말레이시아 핀테크 업체에 6000만달러 투자
- SK㈜-SK머티리얼즈 합병···첨단소재 사업 '일원화'
- 쏘카 말레이시아, 650억원 규모 투자 유치
- SK㈜, 美 퍼펙트데이 추가 투자···대체식품 투자 확대
- SK㈜, 美유전자·세포 치료제 업체 투자···글로벌 입지 굳힌다
- SK팜테코 "올해 프리 IPO추진···2025년 20억달러 매출 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