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무종 기자] KT에 이어 LG유플러스 측이 강도 높은 알뜰폰(MVNO, 이동통신재판매사업자) 판매 진작에 나서자 SK텔레콤 측의 대응이 주목된다. 심지어 이동통신사업자(MNO)에선 금지된 최장 6개월 프로모션이 알뜰폰 시장에선 지속돼 논란이 되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최근 상생 이름으로 24개월간 최대 월 150GB 데이터를 무료로 추가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한 알뜰폰 정책을 내놓았다.
이 회사의 데이터 무료 제공 요금제는 4가지로, 요금제에 따라 150GB·50GB·10GB 데이터를 증정한다. 후불제 알뜰폰 사용자에게 무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테면 1만8700원에 기존 월 71GB를 쓰던 고객은 150GB를 추가로 받아 총 221GB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U+알뜰폰 파트너스‘ 이름으로 “고객 중심의 2.0' 버전을 강조하고 있지만 시장확대를 위한 마케팅 차원이 강하다는 동종업계 해석이다.
실제 LG유플러스의 알뜰폰 자회사는 자사 MVNO 전체 점유율이 지난 3월 이미 50%를 초과했다. 상생을 강조한 뒷배경이란 분석도 나온다. MVNO 3사 자회사 합산으로 점유율이 49%를 초과하면 신규모집을 할 수 없게 돼 있다.
또 유플러스의 알뜰폰 점유율은 23.6%로 SKT(23.2%)를 제치고 점유율 2위 자리에 올랐다(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가입자 통계 기준). 이번 발표처럼 후불 시장을 키운 결과다.
이는 앞서 점유율 1위 KT가 공격적인 정책을 펼침에 따라 맞대응한 것으로 보인다.
KT는 올 1월부터 기존 요금 인하는 물론 월 100기가바이트(GB) 데이터를 1년간 무료 제공해 매월 연장하는 강도높은 프로모션을 하고 있다. 게다가 이달부터는 유플러스와 동일한 수준으로 150GB 데이터를 추가 제공해 업계에서는 전례가 없는 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SKT는 현재로선 맞대응 할 생각이 없다고 밝히고 있지만 시장 혼탁을 우려하면서도 내부에선 응수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LGU+, 중소 알뜰폰 상생 강화···150GB 데이터·KB 제휴카드 할인 제공
- [김무종의 세상보기] 1000원짜리 스마트폰
- KB국민銀 알뜰폰 '리브엠' 기사회생···2년 연장키로 (종합)
- SKT, VR 멀티플레이 게임 '크레이지월드 VR' 정식 출시
- SKT, 서울시 5G 기반 'C-ITS 실증사업' 완수
- KT, 서산시 고파도에 초고속 통신 인프라 구축 완료
- LGU+, 1천억원 자사주 취득·중간배당 결정···창사 이래 처음
- KT-아마존웹서비스 전략적 협업···"디지털 플랫폼 사업 가속화"
- 방통위, 요금 미납자 이용정지 앞당긴 LGU+에 과징금 6억원 부과
- LGU+, 스마트 모빌리티 엑스포서 '자율주차' 선보인다
- SKT, 통신-투자 인적분할 결의···주식 5대 1 액면분할
- U+모바일tv서 CJ ENM 10개 채널 중단···사용료 협상 결렬
- KT, MZ 브랜드 'Y 아티스트 프로젝트' 공개
- LGU+, 축구장 6개 규모 '평촌2센터' IDC 짓는다
- SKT-벤츠, 스타트업 발굴·신사업 확대 협력
- SKT, '비브스튜디오스'와 손잡고 메타버스 경쟁력 강화
- LG유플러스, U+VR서 엑소 '온라인 전시관' 선봬
- SK, 개발자 소통 커뮤니티 '데보션' 선봬
- KT, 美 최초 ADHD 전자약 승인 '뉴로시그마'와 협력
- ICT 수출 12개월 연속증가···역대 5월 수출기록 중 2위 달성
- LGU+-LG CNS, AI콜센터 시장 공동 진출
- LGU+, 국내 최초 5G 28㎓ 골프 중계 '티샷'
- SK 세븐모바일, '플로' 결합 유심 요금제 출시
- KT,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서 '네트워크 지능화 기술' 특별세션 개최
- KT엠모바일, 서울시와 디지털 격차 해소 위한 시니어 요금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