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이래 전세값이 4억원 이하인 아파트가 40%대 이하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감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감정원 시세 기준 전셋값 4억원 이하 서울아파트는 문재인 정권 출범 당시 2017년 5월 59%를 기록했지만, 지난 8월에는 46%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51.1%)까지는 50%대를 유지했으나 올해 1월(49.8%) 들어 처음으로 50% 를 하회하기 시작했으며, 이후에도 꾸준하게 하락하고 전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제 등에 따른 영향으로 지난 8월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반대로 전셋값 6억원 초과하는 서울 아파트의 경우 같은 기간 16.2%에서 24%로 그 비율이 1.5배 가량 늘어났으며, 9억원 초고가 전세 비중 또한 5%에서 9%까지 확대됐다. 부동산 정책을 내놓을 때마다 집값이 급등했고 올해 전셋값마저 급등하면서 실거주를 위한 주거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다.
실제로 강동구의 경우 지난 2017년 5월 전세 4억원 이하 아파트는 69.6%에 달했지만, 지난 8월 41.1%로 급락했다. 그 사이 6억원 초과 아파트의 비율은 1.8%에서 10.3%로 급등했다. 종로구 4억원 이하 전세 아파트 비중은 52.5%에서 23.2%로, 성동구 또한 48.3%에서 20.6%로 급감했다.
김 의원은 "현 정부 들어 수 차례에 집값을 잡겠다고 공언했지만, 서민 또는 신혼부부의 입주가 가능했던 아파트는 줄어들고 비용 또한 늘어나고 있다"라면서 "안정된 전세를 발판으로 자가를 매수하는 한국형 주거 사다리가 완전히 손실됐으며, 정책적 전환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서울 아파트 전셋값 66주째 상승···오름폭 다시 확대
- 임대차법 도입 후폭풍···1억원 이하 원룸 전세 거래 '뚝'
- '오르고 또 오르고'···서울 아파트 전셋값 65주째 고공행진
- 서울 원룸 전셋값도 급등···강남3구 2억원 돌파
- 9월 전국 주택종합 전셋값 0.53%↑···5년5개월來 최대폭 올라
- 한준호 "정부 공공 앱 마저 국내 앱 마켓 외면, 구글이 98% 독점"
- 서민 울리는 전세난···"전세 품귀, 월세·반전세 전환 가속화"
- [2020 국감] 홍남기 "전셋값 잡기 쉽지 않아···추가 대책 강구"
- 서울 아파트 전셋값 67주째 오름세 이어가
- 서울 전세 사느니···경기·인천 집값보다 높아 '인구 유출 가속'
- 집 매매 때 세입자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여부 계약서에 기재된다
- [KB주간동향] 서울 전셋값 0.7% 상승···11년만에 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