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두산중공업이 항공우주 품질경영시스템 AS9100 인증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두산중공업은 항공우주 분야 부품산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AS9100은 세계 항공우주 분야에서 요구되는 안전성, 신뢰성, 특수요건을 반영해 국제항공품질협회(IAQG)가 제정한 국제 표준 규격으로 항공산업 진입에 필수적인 인증이다. 두산중공업이 획득한 인증의 범위는 항공, 우주, 방위산업 부문에 대한 3D 프린팅 개발·제조 분야다.
3D 프린팅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분말을 층층이 쌓으면서 레이저로 용융시켜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일반 가공기술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복잡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제작기간을 단축시킨다.
두산중공업은 가스터빈 등 발전용 부품 제작 선진화를 위해 지난 2014년부터 3D 프린팅 기술을 도입했다. 이후 이 분야에 약 200억원을 투자해 오면서 창원 본사에 3D 프린팅 전용 팹(FAB, 제조 공장)을 구축중이며, PBF방식으로 국내에서 가장 큰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대형 금속 3D 프린터도 도입했다.
PBF(Powder Bed Fusion)방식은 금속 분말 등 소재를 아주 얇은 층으로 수평으로 평평히 깔고, 고출력의 산업용 레이저나 전자빔을 조형하고자 하는 모델에 용융시켜 적층하는 기술이다.
두산중공업 송용진 전략·혁신부문장은 "이번 인증으로, 두산중공업의 3D 프린팅 기술을 기존 발전용 부품 제작은 물론 항공, 우주산업 부품 제작까지 확대할 수 있게 됐다"며 "2025년부터는 3D 프린팅 소재 관련 매출을 연간 2000억원 이상으로 키워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두산중공업, 신임 CFO에 박상현 두산밥캣 부사장 선임
- 두산중공업, 신성장 동력 '해상풍력' 시장 본격 공략
- [초점] 두산모트롤 매각 '딜레마'···정부·인수자·노조 '동상이몽'
- 두산중공업-서부발전, 한국형복합 발전 구축 협력 MOU
- 두산 3조 자구안, 1조는 '자산 매각'···나머지 2조는?
- 두산중공업, UAE 복합화력 발전설비 수주···증기터빈∙발전기 2기 공급
- 두산중공업, 3600억원 규모 김포열병합 파워블럭·건설 수주
-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태국 PTT GC, 물류센터 자동화 설비 공급 계약
- 두산重 소형원전모듈, 美 NRC 설계심사 첫 통과···"글로벌 공인"
- 두산중공업, '인공 태양' 프로젝트에 가압기 설계·공급
- 두산중공업, 日 5톤 생산 수소액화플랜트 건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