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에쓰오일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164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에스오일은 24일 2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2분기 잠정 영업손익은 1643억원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올해 1분기 1조73억원의 대규모 적자보다는 축소됐지만 지난해 2분기(905억원 적자)와 비교하면 확대됐다.
에쓰오일은 코로나19로 쌓인 높은 재고 부담으로 정제마진 부진이 지속됐지만 5월 이후 점진적으로 수요가 회복되고 유가가 오르면서 전분기 대비 재고 관련 손실 규모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2분기 잠정 매출액은 3조4581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매출인 5조198억원보다 33.6%, 지난해 2분기 6조2573억보다는 44.8% 감소했다.
에쓰오일 측은 "회사의 적극적인 판매활동으로 판매량이 6% 이상 늘었지만 유가 하락으로 제품 가격이 떨어지면서 매출액이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정유부문의 매출이 2조5915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영업손익은 3587억원 적자를 냈다. 그 동안 쌓여있던 재고 부담이 커지면서 정제마진이 마이너스로 전환해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석유화학과 윤활기유는 2분기 각각 5891억원, 271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매출은 전분기와 지난해 2분기보다 다소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911억원, 103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2억원, 414억원)에 비해 2069.0%, 149.5% 확대됐다.
석유화학 부문에서는 아로마틱계열의 파라자일렌 스프레드가 역내 설비 가동률 조정에고 신규 설비 가동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이익이 축소됐다. 벤젠 스프레드는 수요 부진과 중국 내 높은 재고로 인해 가격이 급락했다.
이에 비해 올레핀 계열 폴리프로필렌(PP) 스프레드는 원재료인 납사 가격이 하락하고 중국에서 수요가 늘면서 상대적으로 나은 실적을 보였다. 프로필렌옥사이드(PO) 스프레드는 코로나19 대유행에도 역내 설비의 정기보수가 집중되면서 소폭 상승했다.
윤활기유 스프레드는 세계 각국의 이동제한 조치에도 낮은 원료가에 힘입어 견조한 수준을 유지했다. 에쓰오일은 3분기 정유부문에서 코로나19 관련 제한조치 완화로 정제마진이 회복되면서 상반기보다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알 카타니 에쓰오일 CEO, 자사주 1000주 매입···책임경영 의지
- 유가 반등에도 우울한 정유업계···정제마진 13주째 '마이너스'
- '코로나 직격탄' 정유4사, 영업적자 4조3775억···2분기도 '암울'
- [특징주] '최악 실적' 정유株, 국제유가 급등에 강세
- 코로나에 등 떠밀린 정유사들···'脫석유·디지털' 행보
- 성윤모 장관 "정유업계 위기 엄중히 인식···지원수단 찾겠다"
- 에쓰오일, 정유업 부진에도 신용등급 Baa2 유지
- 정제마진 4주 연속 마이너스···정유사 하반기 실적 반등 '난망'
- 에쓰오일 "주유소서 공유 전기자전거 빌려 가세요"
- 에쓰오일, 수난 구조 중 순직한 소방관 유족에 위로금 전달
- 에쓰오일, 순직소방관 유자녀 장학금 전달
- 정유업계 "차라리 공장 멈춘다"···4분기도 '암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