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유플러스는 5G 단독모드(SA) 상용화를 위해 이동통신 기지국 및 코어 장비에 이어 유선망 구간에서 활용 가능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능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현재 상용화된 스마트폰 위주의 5G 비단독모드(NSA)와 달리 단독모드(SA) 환경에서는 기업용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차별화된 서비스 품질 및 저지연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이나 코어 장비 외에도 유선망구간에서 실시간으로 5G망을 측정, 분석해 서비스 및 장애 위험을 알려주고, 네트워크 변화 시 능동적으로 최단거리 경로를 유지해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단말부터 네트워크 전구간에 대한 엔드 투 엔드(End-to-End) 단독모드 상용망 구축이 가능해진다.
이번에 적용한 기술은 '양방향 능동 측정 프로토콜(TWAMP; Two Way Active Measurement Protocol)'을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SDN) 컨트롤러를 통해 분석하고 전송품질을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5G 서비스 구간의 데이터 손실, 전송지연 등의 품질을 TWAMP로 측정하고, 측정한 데이터를 SDN 컨트롤러가 분석해 각종 위험성과 장애 포인트를 실시간 다각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며, 신고 없이도 서비스 고객의 불편을 감지하고 조치할 수 있다.
박송철 LG유플러스 NW기술운영그룹 전무는 "이번 솔루션으로 좀 더 나은 안정적인 5G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며 "향후 높아진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LGU+ '스스로 해결 가이드 영상' 조회수 108만건 돌파
- 현대HCN 본입찰 마감···SKT·KT스카이라이프·LGU+ 삼파전
- LGU+, 서울시 공유자전거 '뉴따릉이'에 LTE-M1 통신기술 제공
- LG유플러스-SBS, '아이들나라와 함께하는 엄빠 교실' 운영
- 이통3사, 2Q 실적 '선방'···투자 기저효과 '불황형 흑자'
- 이통3사 '패스', NH농협銀 인증서로···은행 첫 사설인증
- LGU+, '드림 빅 데이터 과정' 통해 DX인재 키운다
- U+tv, 상반기 고객이 가장 많이본 영화는 '기생충'
- LGU+, 웨스틴조선호텔에 클라우드 VR 서비스 제공
- 방통위, 지원금 차별 지급 이통3사에 512억원 과징금 부과
- LG유플러스, '로봇 자동화'로 네트워크 품질관리 앞장
- U+아이돌Live, '있지'의 미션형 야외 버라이어티 독점 공개
- LGU+ "휴대폰 보험금 청구 서류 없이 된다"
- '무인 매장·당일 배송'···스마트폰 개통 언택트 시대
- LGU+-LG CNS-팜에이트, 국내 최초 '미래형 식물공장' 만든다
- "LG유플러스, 2분기 호실적 전망"-한화투자證
- LGU+, '우리가족상담팀' 신설···가족 통신생활 토탈케어
- LGU+, 주 3일 재택근무 도입···시범운영 후 점진적 확대
- U+프로야구, 미국 메이저리그 실시간 중계
- U+tv, 27일 중년층 대상 신규 채널 5개 선봬
- U+아이돌Live, 자체 제작 콘텐츠 '마마무의 무무트립' 공개
- LGU+, 펄어비스 '검은사막' 지포스나우로 제공
- 5G 첫 품질 평가···속도 SKT·안정성 KT·커버리지 LG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