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유플러스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유자전거 서비스 '따릉이' 2만5000여대에 'LTE-M1' 통신기술을 제공한다고 15일 밝혔다.
통신 기능을 탑재한 전용 단말기로 공유자전거의 관리 효율과 이용 편의성을 높인 '뉴따릉이' 보급을 위함이다. 보다 편리한 대여∙반납을 위해 QR코드가 부착된 전용 단말기가 공유자전거 뒷바퀴에 설치되며, 이 단말기는 잠금장치의 역할을 담당한다.
LG유플러스는 LTE-M1 통신기술로 단말기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LTE-M1은 LTE 주파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기술로 전력 소모량이 낮아 수년간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중은 물론, 건물 안이나 지하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공유자전거와 같이 배터리 충전 없이 외부에서 오랜 시간 사용하고, 이동 중에도 상태 정보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에 최적의 통신기술이다.
서울시는 국내 지자체중 처음으로 공유 이동 수단에 LTE-M1 통신기술을 도입했다. 전용 단말기가 탑재된 공유자전거는 실시간 위치 정보 조회가 가능해져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잠금상태, 배터리잔량, GPS·블루투스 상태정보 등 각종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 유지보수도 편리하다.
LG유플러스는 비대면의 중요성과 함께 1인용 이동수단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며, LTE-M1 통신기술을 다양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에 적용해나갈 예정이다.
오영현 LG유플러스 무선사업담당은 "LTE-M1 통신기술은 저전력 기반의 LTE 통신으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에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핵심 솔루션"이라며 "잠금장치 등 관련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당사만의 기술력과 경험으로 비대면 시대 공유 모빌리티 시장을 지속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LG유플러스-SBS, '아이들나라와 함께하는 엄빠 교실' 운영
- 이통3사, 2Q 실적 '선방'···투자 기저효과 '불황형 흑자'
- 이통3사 '패스', NH농협銀 인증서로···은행 첫 사설인증
- LGU+, '드림 빅 데이터 과정' 통해 DX인재 키운다
- U+tv, 상반기 고객이 가장 많이본 영화는 '기생충'
- LGU+, 웨스틴조선호텔에 클라우드 VR 서비스 제공
- 방통위, 지원금 차별 지급 이통3사에 512억원 과징금 부과
- LG유플러스, '로봇 자동화'로 네트워크 품질관리 앞장
- LGU+ '스스로 해결 가이드 영상' 조회수 108만건 돌파
- LG유플러스, 5G 단독모드(SA) 상용화 준비 완료
- '무인 매장·당일 배송'···스마트폰 개통 언택트 시대
- LGU+-LG CNS-팜에이트, 국내 최초 '미래형 식물공장' 만든다
- "LG유플러스, 2분기 호실적 전망"-한화투자證
- LGU+, '우리가족상담팀' 신설···가족 통신생활 토탈케어
- LGU+, 주 3일 재택근무 도입···시범운영 후 점진적 확대
- U+tv, 27일 중년층 대상 신규 채널 5개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