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와 관련해 "우리는 일본과 다른 길을 걸을 것"이라며 "위기를 기회로 삼아 글로벌 첨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소재·부품·장비 생산 현장인 경기도 이천의 SK하이닉스를 방문해 "일본의 부당한 수출규제조치가 1년째 이어지며 우리 경제에 큰 타격이 될 것이란 우려가 있었지만 지금까지 한 건의 생산 차질도 없이 위기를 잘 극복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우리는 일본의 부당한 수출규제 조치를 겪으면서 신뢰를 기반으로 한 국제분업의 중요성을 절감했다"며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강국으로 도약하며 국제사회와 협력하는 것이 우리가 가고자 하는 '한국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K방역이 세계 표준이 된 것처럼 소재·부품·장비 산업에서도 세계를 선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향후 첨단산업 육성비전을 담은 '소재·부품·장비 2.0 전략'을 소개했다.
여기에는 △핵심 관리품목 100개에서 338개로 확대 △'소부장 으뜸기업' 100개 선정 및 육성 △첨단산업 유치 및 국내 유턴기업 지원 강화 △글로벌 공급망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와 협력 강화 등 목표가 담겼다.
문 대통령은 "이제까지의 성과를 기반으로 수세적 대응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도약'으로 정책을 전환할 것"이라며 "첨단산업의 세계공장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어 "각국의 봉쇄조치와 자국중심주의의 확산으로 글로벌 분업구조에 균열이 커지고 있지만, 역설적으로 코로나는 세계가 긴밀히 연계돼 있다는 점을 증명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국제분업구조의 안정과 자유무역 수호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요한 가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은 튼튼한 제조업 기반과 세계적인 ICT 혁신 인프라를 갖추고 있고 무엇보다 방역 성공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처임을 입증했다"며 "이제는 연대와 협력의 정신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히며 "소재·부품·장비와 첨단산업의 성장이 '경제 위기 극복'이고 '산업 안보'이며, 혁신성장의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 [日 수출규제 1년] 경쟁력 강화 '성과'···정부, '소·부·장 2.0 전략' 추진
- 정부, 뿌리기술 3D프린팅·센서 확대···소부장 경쟁력 강화 총력
- SK하이닉스, 기술혁신기업 4곳 선정···"국내 소부장 육성"
- 서부발전, 中企 소부장 국산화 지원 'WP-코디30' 설명회
- 서부발전, 소·부·장 국산화 현장 설명회···"현장에서 답을 찾다"
- 소재‧부품‧장비 자립화 선도 '융합혁신지원단' 출범
- 정부, 올해 소·부·장 기술 상용화에 130억 투입···'50개 과제' 선정
- '소부장' 100대 품목에 3300억원 투입···기술개발 본격 착수
- 정부, 소·부·장 글로벌 선도 '출사표'···기술 개발 5조 투입
- '코로나 특수' SK하이닉스, 2Q 어닝서프라이즈···영업익 1.9조
- 한-독 소·부·장 기술협력센터, '제1차 지원기관 협의회' 개최
- SK하이닉스, D램 점유율 30%대 회복···"가격 상승 영향"
- 삼성화재, '신뢰성 보험' 첫 출시···"소·부·장 제품 결함 손실 보상"
- [기자수첩] '적반하장' 日, 전향적 태도 보여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