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은 차세대 의료장비 원천기술 기업 '나노엑스'에 투자해 2대 주주가 됐으며, 국내외 독점 사업권을 확보해 한국 내 생산공장을 설립할 예정이라고 5일 밝혔다.
반도체 기반 디지털 엑스레이(X-ray)는 필라멘트 기반 아날로그 방식의 엑스레이 촬영을 반도체의 나노 특성을 활용한 디지털 방식으로 바꾼 차세대 의료 장비 기술이다.
나노엑스는 '반도체 기반 디지털 엑스레이 발생기' 상용화 및 양산에 근접한 유일한 기업으로, 이스라엘에 본사를 두고 있다. 미국 나스닥 상장을 준비 중이기도 하다. 글로벌 기업인 후지필름, 폭스콘 및 요즈마그룹 등 유력 투자회사가 나노엑스에 투자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6월 나노엑스의 기술 잠재력과 혁신성을 확인하고, 초기투자(Seed Round)에 참여했다. 이번 미국 나스닥 기업공개 사전투자(Pre-IPO)에도 참여하며 이 회사의 2대 주주가 됐다. 누적 투자액은 2300만 달러(약 282억 원)다.
일반적인 엑스레이 촬영 기기는 구리와 텅스텐 등으로 구성된 필라멘트를 최고 2000℃로 가열하여 전자(Electron)를 생성하고, 이를 빠르게 회전하는 애노드(Anode)로 쏘아 보내 엑스레이를 발생시킨다. 이후 일정 시간 피사체에 노출시켜 결과물을 만든다.
반면 나노엑스의 디지털 엑스레이는 손톱 크기의 실리콘 반도체를 이용한다. 반도체 속 약 1억개의 나노 전자방출기를 디지털 신호로 제어해 찰나에 전자를 생성하고, 엑스레이로 전환해 촬영한다. 필라멘트를 가열하거나 애노드를 빠르게 회전시키는 단계가 없다.
해외에서는 이 기술을 에디슨 전구가 LED(발광다이오드)로 진화했던 '빛의 혁신'에 견줘 아날로그 방식 엑스레이 촬영을 125년 만에 디지털화한 '보이지 않는 빛의 혁신'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나노엑스는 디지털 엑스레이·CT 기반 차세대 영상촬영 기기(Nanox.ARC)를 개발해 미국 FDA(식품의약국) 승인 절차와 제품 양산 준비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이 기기는 아날로그 제품들보다 더 선명한 화질로, 최대 30배 빠른 속도로 촬영한다. 방사능 노출 시간을 30분의 1로 줄이면서, 가슴을 누르는 통증 없는 비접촉 엑스레이 촬영도 가능하다.
1회 촬영당 비용이 10% 수준에 불과해 소형 의원이나 의료 부담이 큰 국가에서 엑스레이·CT 촬영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특히 기존 엑스레이 촬영 장비의 대형 냉각 장치가 필요 없어 기존 1톤 무게의 장비를 200Kg 수준으로 경량화가 가능하다. 병원 내부 등 특수 환경에서만 설치가 가능했던 엑스레이·CT 촬영 장비를 앰뷸런스나 간이 진료소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은 SK하이닉스, ADT캡스, 인바이츠헬스케어 등 ICT패밀리사와 함께 디지털 엑스레이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의료·보안·산업용 서비스를 구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 장비를 앰뷸런스에 탑재하고 5G 및 클라우드와 연동한다면, 환자 이송 중 응급의료팀과 원내 전문의가 고품질의 엑스레이·CT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다. 골든타임 내 응급 영상 촬영이 필수적인 뇌졸중(국내 단일질환 사망률 1위)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공항, 전시장, 공연장, 경기장 등에 3D 엑스레이 보안 기기를 보다 간편하고 넓은 범위에 설치가 가능하다. △반도체·배터리·자동차 부품 생산 공장의 엑스레이 활용 품질 검사 △반려동물용 영상진단기기 시장 등도 디지털 엑스레이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분야다.
SK텔레콤은 나노엑스 지분 투자 외에 사업도 직접 나선다. SK텔레콤은 나노엑스로부터 차세대 영상촬영기기의 한국, 베트남의 독점 사업권을 확보했다. 향후 해당 국가의 사용 허가 절차를 거쳐 기기를 공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SK텔레콤과 나노엑스는 한국을 차세대 장비의 글로벌 생산 기지로 논의 중이다.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고, 첨단 바이오 회사와도 협력이 수월하기 때문이다. 나노엑스의 반도체 FAB이 한국에 건설되면 차세대 의료 사업 개화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ICT 및 첨단 기술로 더 나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자는 양사 철학이 맞닿아 있다"며 "차세대 의료 기술과 5G, AI를 융합한 결과물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표적인 혁신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란 폴리아킨 나노엑스 최고경영자(CEO)는 "수 년간 연구한 기술의 상용화를 앞두고 강력한 동반자를 얻게 돼 기쁘다"며 "누구나 의료 장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인류를 괴롭히는 질병을 줄인다는 비전을 SK텔레콤과 함께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 갤노트10+ '클레이튼폰'을 선착순 1000명 안에 샀다면?
- SKT 'T맵 대중교통' 앱, 수도권 지하철 혼잡도 제공
- SKT, 그룹 영상통화 활용 '인택트' 채용 면접 진행
- 이통3사, 1111·1004 등 '골드번호' 공개 추첨
- SKT, 미얀마 NCSC에 차세대 보안 솔루션·컨설팅 수출
- SKT·독립기념관, '5GX MEC 기반 AR·MR 에코뮤지엄' 협약
- SKT, 지난해 사회적 가치 1조8709억원 창출
- SK텔레콤, 5G·MEC 기반 서비스 개발 국내외 유망기업 공모
- SK텔레콤, 개인정보보호 인식주간 캠페인 동참
- SK텔레콤-NEW ID, 'AI 기반 포스트 프로덕션 플랫폼' 개발
- 박정호 SKT 사장 "언택트 시대는 기회, 과거 공식 모두 깬다"
- SKT-핀크, 자유입출금 가능한 'T이득통장' 15일 출시
- SKT "5G 부스트파크에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아이템 쏟아진다"
- SKT '스마트 지킴이', 서울시 치매 어르신 생활 안전 지킨다
- 과기정통부, SK텔레콤 2G 서비스 폐지 승인
- SKT, 국민과 함께 ICT 기반 사회적가치 창출 아이템 찾는다
- SK텔레콤, 매장에 무인운영 방식 도입
- SK하이닉스, 초고속 D램 'HBM2E' 양산···"영화 124편을 1초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