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주현 기자] GC녹십자랩셀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30일 GC녹십자랩셀은 "자연살해(NK)세포를 활용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나섰으며, 국내와 미국에서 빠르면 올 하반기에 인체 임상 시험을 시작한다는 구상"이라고 밝혔다.
GC녹십자랩셀에 따르면, 코로나19 치료제는 미국 바이오기업 KLEO 파마슈티컬즈(Pharmaceuticals)와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GC녹십자랩셀의 NK세포치료제와 KLEO 보유 항체유도물질인 ARMs(Antibody Recruiting Molecules)를 활용해 코로나19 치료제를 완성하겠다는 목표다.
ARMs는 바이러스 항원과 인체 내에 존재하는 항체(면역글로불린)에 모두 결합하도록 설계됐다. 바이러스 치료제로 쓰이는 항체는 바이러스 항원 표면(스파이크)에 제대로 결합돼야 재감염을 막고, 인체 내 다른 면역세포를 불러들일 수 있다. ARMs가 항원과 항체를 연결하는 중화항체 노릇을 한다는 얘기다.
이번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프로젝트는 '투 트랙'으로 이뤄졌다. 감염세포를 직접 공격하고 다른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NK세포치료제로 개발하는 방식과 NK세포치료제뿐 아니라 ARMs도 활용하는 것이다. 초기 연구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최영기 교수팀 등이 힘을 보탠다.
GC녹십자랩셀의 NK세포치료제는 타인의 세포로 만들기 때문에 대량 생산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NK세포치료제는 자가 세포로 만든 탓에 양산이 제한적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약물 재창출' 연구여서 개발 기간을 줄일 수 있다. 바이러스 제거에 일차적으로 관여하는 선천면역세포를 활용하기에 항체 선별 같은 후보물질 도출 과정이 필요 없다. NK세포치료제를 항암제 용도로 개발하면서 안전성 자료도 갖춘 덕분에 절차가 짧은 임상도 가능하다. GC녹십자랩셀이 빠르면 올 하반기에 인체 임상을 개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이유다.
황유경 GC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소장은 "면역세포 특징은 우리 몸의 침입자를 찾아 없애는 것"이라며 "이미 임상단계인 NK세포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은 긴급한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 GC녹십자 "코로나19 치료제 상용화, 하반기 가능"
-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가속···"7월 인체 투여 목표"
- 코로나 퇴치 '주도권 잡는다'···치료제 임상 절차 간소화
- 삼성바이오, '코로나19 치료제' 위탁생산 계약···인천공장서 제조
-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후보군 38개 확보
- 질본, 코로나19 예방 백신 국내 임상 추진
- GC녹십자랩셀, NK세포 배양법 일본 특허 취득
- 휴먼셀바이오, NK세포 배양법 특허 획득
- GC녹십자랩셀 미국법인 아티바, 900억원 투자 유치
- GC녹십자랩셀, 세포 장기보존 기술 일본 특허 취득
- GC녹십자셀, 이뮨셀엘씨주 췌장암치료 임상 3상 계획서 제출
- GC녹십자랩셀, 2분기 영업익 25억···흑자전환
- GC녹십자랩셀 "면역세포, 시험관실험서 코로나19 치료효과"
- GC녹십자랩셀, NK세포치료제 미국 개발 돌입
- GC녹십자랩셀, 작년 영업익 역대최대···전 사업부문 외형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