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미·중 갈등 속 전기차 배터리 핵심 광물의 공급망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주요국들이 아프리카 공급망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기술력과 지속가능성을 앞세운 차별화된 전략으로 아프리카와의 광물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4일 발표한 '아프리카 광물 확보 경쟁 속 주요국 전략과 한국의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는 리튬, 코발트, 흑연, 망간 등 전기차 배터리 핵심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돼있다. 여기에 젊은 노동력이 많고 산업 육성 의지도 강해 주요국의 진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콩고민주공화국은 코발트 매장량이 전세계 1위이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망간 매장량이 1위, 마다가스카르는 흑연 매장량이 3위, 짐바브웨는 리튬 매장량이 7위에 이른다. 현재 중국과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이 아프리카에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외교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자본력과 외교적 영향력에서는 미국과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세지만, 세계적인 배터리 제조 기술력을 바탕으로 견고한 전방 산업 공급망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아프리카와 광물 분야에서 상호보완적 협력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또 한국과 아프리카 광물 협력 증진을 위해 △자원 부국 중심 고위급 순방 확대 △가봉·남아공 등 자원 부국과 협의 중인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의 조속한 체결 △기술력과 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동반 성장 협력 모델 추진 △정부의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광물 개발 지원 등을 제안했다.
박소영 KITA 수석연구원은 "우리 배터리 산업이 중국의 공급망 통제와 미국의 탈중국 정책 강화의 이중 리스크에 직면한 가운데 아프리카가 공급망 다변화의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주요국과의 경쟁 심화 속에서 우리나라도 아프리카 광물 협력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및 정부 차원의 장기적이고 일관된 정책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